본문내용
1. 호스피스·완화의료 개념 및 정의
호스피스(Hospice)는 임종을 앞둔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심리적·영적 안정을 지원하는 기부와 자원봉사 성격의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보다 확장된 '완화의료(Palliative care)'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과 관련한 문제에 직면한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 예방과 완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이다. 완화의료는 통증이나 다른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문제들에 대한 조기진단, 적정 평가와 치료를 통해 제공된다.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에 대한 완치 목적의 치료가 아닌, 삶의 질에 목적을 둔 총체적 치료와 돌봄을 의미한다.
2.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2.1.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 기관 현황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제공기관은 입원형 호스피스전문기관 83개(1,364개 병상), 가정형 호스피스기관 26개, 자문형 호스피스 기관 20개, 요양병원형 호스피스기관 12개가 호스피스·완화의료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입원형 호스피스전문기관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인력, 장비 등의 기준을 충족하며 호스피스 대상환자에게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가정형 호스피스전문기관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인력, 장비 등의 기준을 충족하며 호스피스대상환자에게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다. 자문형 호스피스전문기관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인력 등의 기준을 충족하는 호스피스대상환자에게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다.
2.2.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이용율
우리나라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이용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7년 기준 암 사망환자 7만 8,863명 중 1만 7,317명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암 사망자의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률은 약 22%이다. 이는 2016년 말 기준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률 17.5%에서 4.5% 상승한 것으로, 호스피스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이용자도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이다.
호스피스 사업 유형별 이용자 수를 살펴보면, 101개 호스피스 전문기관 및 시범사업기관의 신규 이용자(1만 7,333명) 중 입원형 호스피스만 이용한 환자는 1만 5,123명, 가정형 호스피스만 이용한 환자 565명, 자문형 호스피스만 이용한 환자 535명이었다. 입원형과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이용한 환자는 794명, 입원형과 자문형을 함께 이용한 환자가 225명, 가정형과 자문형을 함께 이용한 환자가 40명, 입원형과 가정형, 자문형을 모두 이용한 환자는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