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효소를 활용하여 치즈 만들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효소를 활용한 치즈 제조
2.1. 치즈의 정의와 역사
2.2. 치즈 제조 공정
2.3. 치즈의 발효과 숙성
3. 치즈의 영양학적 가치
3.1. 치즈의 주요 영양성분
3.2. 발효식품으로서의 치즈의 특성
3.3. 치즈 섭취의 건강상 이점
4. 식품산업에서의 치즈 응용
4.1. 치즈 숙성 기간 단축을 위한 효소 활용
4.2. 향미 개선을 위한 미생물 캡슐화
4.3. 기능성 치즈 개발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효소를 활용하여 치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치즈 제조와 관련된 효소의 역할, 치즈의 영양학적 가치, 그리고 식품산업에서의 치즈 응용은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치즈 제조 과정에서의 효소 활용, 치즈의 영양학적 특성, 식품산업에서의 치즈 응용 등을 살펴봄으로써 효소를 활용한 치즈 제조의 가치와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치즈 제조 기술의 발전과 식품산업에서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효소를 활용한 치즈 제조
2.1. 치즈의 정의와 역사
치즈는 우유에 레닛이라는 효소를 넣어 응고시킨 커드(curd)에서 유청을 제거하고 가공 처리한 음식이다. 이는 우유의 '엑기스'라고도 볼 수 있다. 치즈의 기원은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선사시대부터 인간이 치즈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해져 내려오는 대표적인 기원 설화로는 아라비아 행상 카나나라가 양의 위에 넣은 염소의 젖이 서서히 응고되어 치즈를 발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폴란드에서 기원전 5500년경 치즈 제조 도구가 발견되었고, 이집트에서도 기원전 2000년경 미라 속에서 치즈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치즈는 동양보다 유럽에서 더 발달하였는데, 로마 시대부터 주요 식품으로 애용되었고, 유럽 각지로 퍼져나가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다. 현재 치즈의 종류는 수천 개에 달하며, 세계적으로 모짜렐라, 까망베르, 브리, 고다, 체다, 리코타, 에멘탈, 고르곤졸라, 파마산 등이 대표적이다. 치즈는 우유에서 시작하여 효소를 통해 응고되고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풍미와 특성을 지닌 식품으로 발전해왔다.
2.2. 치즈 제조 공정
우유는 유지방과 단백질 등이 풍부한 영양 식품이다. 우유에 레닛이라는 효소를 첨가하여 응고시키면 치즈가 된다. 치즈 제조 공정은 크게 8단계로 구분된다.
첫째, 원유를 살균하고 냉각한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을 제거하고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낮춘다. 둘째, 우유를 응고시킨다. 산 응고 방식과 레닛 응고 방식이 있는데, 레닛 응고 방식이 더 널리 사용된다. 온도는 20~40도 사이가 일반적이다. 셋째, 응고된 우유덩어리를 커드라 부르며, 이를 여러 번 자르면 유청이 분리된다. 커드를 자르는 횟수에 따라 소프트 치즈나 하드 치즈의 수분 함량이 달라진다. 넷째, 유청을 제거한 커드를 틀에 넣어 모양을 만든다. 이때 자연적인 유청 제거와 함께 압력을 가해 단기간에 단단한 치즈를 만들기도 한다. 다섯째, 소금을 첨가하는 가염 처리를 한다. 소금 첨가량과 방식에 따라 치즈의 맛, 질감, 수분 함량이 달라진다. 여섯째, 숙성 과정을 거친다. 10도 내외의 낮은 온도와 80~90%의 높은 습도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MD 저널, 2007.9.1. [효소이야기 2] 발효식품에는 효소가 있다
조영희 외, 식품산업에서의 미세캡슐화 기술, 한국식품과학회 (1997)
박병규 외, 유산균 이중 미세 캡슐화의 조건 최적화,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2003)
김혜인 외, 상전이물질을 함유한 폴리우레아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와 섬유복합소재에의 적용, 부산대학교 섬유공학과 (2007)
이현도 외, 미세캡슐화공정이 천연 색소 및 항산화 물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2012)
이규희 외, 고온에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미세캡슐화 기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2018∼20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농림축산식품부/2018
https://www.mafra.go.kr/mafra/366/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3MSUyRjMxNjk0MCUyRmFydGNsVmlldy5kbyUzRg%3D%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