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예술체육비전 장학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평생교육기관의 가치체계와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미래평생교육원
2.1. 대학(원)부설 평생교육기관
2.1.1. 교육과정 운영
2.1.2. 학사운영
2.1.3. 교육 지원 인프라 및 학비 지원
2.2.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미래평생교육원
2.2.1. 미션과 비전
2.2.2. 교육과정 운영
2.2.3. 학사운영
2.2.4. 교육 지원 인프라 및 학비 지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급격하게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평생 동안 학습을 해야 하는 평생학습사회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평생교육은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보완교육, 성인 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 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이라고 [평생교육법] 제2조에서 정의된다. 평생교육은 정규 교육과정과 같이 졸업장이나 학위 취득과 연관되는 형식교육과, 정규교육 이외의 학위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비형식교육으로 나뉜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평생교육 참여율을 보면 형식교육은 평균 1.58%, 비형식교육의 참여율은 36.84%로, 형식교육에 비해 비형식 교육의 참여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육에 참가함으로써 심리적인 만족도와 행복감을 얻고, 자기 계발을 이루며 업무에 필요한 기능을 습득하는 등의 성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평생교육은 대한민국의 성인의 생활에 대한민국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평생학습 참여자의 현재 생활만족도(71.4점)은 비참여자의 현재 생활 만족도(66.5)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대한민국에서의 평생교육은 1999년 평생교육법이 개정되고 2000대에 들어서면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평생교육원과 같은 교육기관이 증가하여 2021년에 이르러서는 전국 4493개의 평생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을 실천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평생교육기관이 가장 실질적이고 직접적으로 활약하고 있다.
2. 평생교육기관의 가치체계와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미래평생교육원
2.1. 대학(원)부설 평생교육기관
2.1.1. 교육과정 운영
대학(원)부설 평생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은 학습자들의 수요와 기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대학(원)부설 평생교육기관은 타 평생교육기관에 비...
참고 자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14). 2014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평생교육통계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22). 2021년 국가평생교육통계조사
권두승(2006). 평생교육기관 이미지 측정모델 개발 및 평생교육기관 이미지 비교. 평생교육학연구, 12(3), 125-148.
권인탁(2006).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평생교육체제 구축 방안. 평생교육학연구, 12(4), 121-147.
임영희, 권인탁(2018). 대학평생교육정책의 실태분석과 전략. 열린교육연구, 26(1), 95-115.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미래평생교육원, https://sce.ewha.ac.kr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래교육원, https://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