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디지털 비디오 기술과 1인 방송 제작
디지털 비디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1인 방송 제작을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면서 VHS나 DV 테잎 대신 메모리 카드에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게 되었고, 캡처 보드와 같은 전문 장비 없이도 스마트폰이나 가정용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등으로 쉽게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두 번째로는 편집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간단한 스마트폰 앱으로도 쉽게 다룰 수 있게 개선되었다. PC용 프로그램들 역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쉽게 바꾸면서 편집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는 압축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속도 향상으로 인하여 파일 용량은 줄어들었고, 유튜브와 같은 영상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전문 방송인이 아니더라도 자신만의 방송을 만들어 시청자들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1인 방송 제작에 대한 진입 장벽을 완전히 허물어 버렸다고 할 수 있다.
1.2. 영상 제작 기법과 언어
영상 제작에는 다양한 기법과 언어가 활용된다. 첫째, 카메라의 높이와 각도는 대상을 바라보는 시점을 결정한다. 아이레벨은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고 편안한 느낌을 주며, 하이 앵글은 대상을 나약하고 위축된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전체 공간을 한 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로 앵글은 대상을 경외감이나 권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주관적 시점과 객관적 시점은 카메라가 전달하는 시점을 구분한다. 주관숏은 배우의 눈을 대신하여 전달되는 시점이며, 객관숏은 제3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점이다. 셋째, 리액션숏과 리버스숏은 행위와 반응을 연계하여 표현한다. 리액션숏은 특정 행동에 대한 다른 배우의 반응을 보여주어 감정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리버스숏은 어떤 숏에 나오는 배우의 시선을 정 반대의 앵글에서 담아내 힘의 균형을 맞추어 준다. 이와 같이 영상 제작의 기술적 측면과 더불어 시점, 구도, 연계성 등 다양한 영상 제작 기법과 언어가 활용된다.
2. 디지털 비디오 기술의 발전과 1인 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