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해충은 환경에 적응력이 뛰어나며, 작은 몸집과 뛰어난 이동성으로 인해 적합한 환경을 찾아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좋은 환경에서는 빠른 성장과 증식을 하며, 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 이동이나 휴면 기간을 가지며 적응한다. 시설 재배의 발달로 과거에는 월동 또는 생존이 불가능했던 해충들도 연중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해충의 특성으로 인해 농작물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발생한 돌발해충과 약제저항성 해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국내에서 발생한 돌발 해충
2.1. 미국선녀벌레
미국선녀벌레는 해충으로서 다양한 농작물 및 식물에 피해를 준다. 주로 잎을 먹는 행동을 하며, 그로 인해 작물의 생장을 저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등 농작물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발생 및 확산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되는데, 기후 조건 변화, 유전적인 특성, 식물 종류 등이 주요 원인이다.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최초 보고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며, 감(단감)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포도 등 다양한 농작물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화학적 방제, 생물학적 통제, 생태학적 접근 등 다양한 방제 전략이 활용되고 있으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2.2. 갈색여치
갈색여치는 최근 충북 단양군(2001년), 영동군, 옥천군, 청원군(2006, 2007년)지역에서 대량 발생하였다. 갈색여치의 몸길이는 25∼30mm 내외이고, 체색은 갈색∼암갈색이며 배의 아랫부분은 밝은 녹색이다. 날개는 퇴화하여 축소되어 있고, 성숙한 개체의 앞날개는 앞가슴 길이와 비슷하며 뒷날개는 짧다. 암컷의 산란관은 길고 아래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으며, 연 1회 발생하고 알로 월동한다. 성충은 8∼10월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