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무용과 심리치료
무용과 심리치료는 움직임 상호작용을 통하여 개인의 일상적인 자각과 내부에 존재하는 무의식적 정신과정을 이해하고, 창의적이고 표현적인 개념들을 정신 치료의 통찰력과 결합시키는 것이다.
무용은 오래전부터 인간의 감정과 정신, 신체를 통합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원시부족 시대부터 신들의 노여움을 달래거나 그들을 경배하기 위해 고안된 의식들 내에서 춤의 역할이 부각되었으며, 이는 카타르시스를 일으키며 치료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1920년대 정신분석학자들이 언어를 통해 무의식의 표현을 시도할 때, 무용수들은 신체 동작을 무의식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40년대부터 무용치료가 시작되었다.
무용치료요법은 음악, 미술, 드라마 등과 함께 신체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개인의 신체, 정서, 인지, 사회적 통합을 위한 심리 치료의 한 분야이다. 무용치료요법의 진행 과정은 ①진단 및 평가, ②치료 목적 및 목표 설정, ③치료 목적에 따른 치료 계획 적용, ④치료 적용에 따른 대상자의 반응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용치료요법은 그리스의 사람들이 무용과 카타르시스를 동격시했을 정도로 유쾌한 에너지를 전달하며, 빠른 회전 동작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의식의 변화를 가져다준다. 또한 높이 뛰어오르는 동작은 무한한 가능성을 느끼게 하고, 여러 사람과 춤을 추며 애정이 증진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로 연결될 수 있는 환경에서 벗어나 심신의 평온함과 안락함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무용을 통해 분비되는 호르몬들은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고 우울증 치유에 도움을 준다.
무용치료요법은 감정적이거나 정신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는 개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신체와 마음, 그리고 정신의 일체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완전하다는 느낌을 갖도록 한다. 이처럼 무용치료요법은 노인과 언어장애인, 자폐증 환자, 재활환자를 비롯한 모든 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1.2. 무용치료요법의 정의
무용치료요법의 정의는 음악, 미술, 드라마 등과 함께 신체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개인의 신체, 정서, 인지, 사회적 통합을 위한 심리 치료의 한 분야이다. 움직임 상호작용을 통하여 개인의 일상적인 자각과 내부에 존재하는 무의식적 정신과정을 이해하고, 창의적이고 표현적인 개념들을 정신 치료의 통찰력과 결합시키는 데에 초점을 둔다.
1.3. 무용치료요법의 역사와 발전
춤은 인류가 시작되면서부터 제례의식이나 종교와 함께 존재해왔다. 그들은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공포, 경외, 숭배 등을 춤으로 표현하며 집단적으로 공유했다. 치료로서 유용한 종교적 춤의 유형은 춤추는 행위자가 일으키는 엑스터시로서 원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