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경화증 복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간경화증의 정의와 원인
3. 간경화증의 증상 및 합병증
3.1. 문맥성 고혈압
3.2. 식도정맥류 출혈
3.3. 간성뇌병증
4. 간경화증의 진단
5. 간경화증의 치료
5.1. 복수 관리
5.2. 출혈 관리
5.3. 간성뇌병증 관리
6. 간경화증 환자의 간호중재
6.1. 복수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6.2. 출혈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6.3. 간성뇌병증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7. 사례분석
7.1. 간호사정
7.2. 간호과정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문맥성 고혈압, 식도 정맥류 출혈, 간성뇌병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며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경화증의 원인과 증상, 합병증,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이해하고 간호중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경화증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간경화증의 정의와 원인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섬유화로 인해 간은 굳어지고 조직이 결절로 변하면 담즙과 간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이로 인해 동양혈관 압이 상승하고 이어서 문맥압이 상승한다.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B형 간염이며, 알코올성 간질환, 바이러스성 간염, 자가면역성 질환, 지방성 간염, 약물 및 독성물질, 담즙성 질환, 심혈관 질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간경화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며 만성적인 간 손상이 진행되어 나타나는 복잡한 질병으로,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인한 간 조직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면서 발생한다.
3. 간경화증의 증상 및 합병증
3.1. 문맥성 고혈압
문맥성 고혈압은 간경화증의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간경화증으로 인해 간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되면 간문맥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문맥압이 증가하여 혈액이 간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식도와 위장 혈관으로 역류하게 된다.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식도와 위장의 혈관이 확장되어 정맥류가 형성되며, 이러한 정맥류의 압력이 증가하면 혈관벽이 파열되어 식도정맥류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복수가 발생하게 된다. 즉, 문맥성 고혈압은 간경화증에서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병태생리학적 특징 중 하나이며, 식도정맥류 출혈, 복수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간경화증 환자의 관리에 있어서 문맥성 고혈압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3.2. 식도정맥류 출혈
식도정맥류 출혈은 간경화증의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간경화증으로 인한 문맥압 상승으로 혈액이 간으로 가지 못하고 식도와 위장 혈관으로 역류하여 과도한 혈액이 유입되면 정맥류가 형성된다. 이 압력이 커지면 혈관벽이 터져 출혈이 발생한다.
이러한 식도정맥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상황이다. 환자는 토혈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심한 출혈과 혈액량 감소로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식도정맥류 출혈 관리를 위한 주요 중재로는 약물요법, 수혈, 위세척,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법, 내시경적 경화제 주사요법, 식도 위 풍선 탐포네이드, 경정맥 간내 문맥계 우회술 등이 있다.
약물요법은 응급 내시경 전 문맥압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다. 주로 terlipressin, somatostatin, octreotide 등을 투여하여 교감신경 차단 및 문맥혈류 감소 효과를 얻는다. 출혈 예방을 위해 propranolol과 같은 장기작용 베타차단제도 투여할 수 있다.
수혈은 출혈로 인한 혈액량 보충을 위해 필요하다. 농축 적혈구와 신선냉동혈장을 주입하여 혈색소와 응고인자를 보충한다.
위세척은 토혈이나 혈변 발생 시 시행하여 출혈부위를 수축시킨다. 차가운 식염수나 물을 이용한다.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법과 내시경적 경화제 주사요법은 출혈부위를 직접 치료하는 방법이다. 내시경을 통해 정맥류를 확인하고 이를 결찰하거나 경화제를 주입한다.
식도 위 풍선 탐포네이드는 출혈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하는 방법으로, 두 개의 풍선이 식도와 위를 압박한다.
경정맥 간내 문맥계 우회술은 혈관 내 우회로를 만들어 문맥압을 낮추는 시술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중재를 통해 식도정맥류 출혈을 신속히 멈추고 출혈을 예방하여 환자의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
3.3. 간성뇌병증
간성뇌병증은 간경화증의 합병증 중 하나이다. 간경화증이 진행되면 간 기능이 저하되어 암모니아와 같은 독성 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지남력 및 의식 상태 변화, 성격 변화, 손떨림, 혼란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특징이며, 심하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간성뇌병증은 복수나 식도정맥류...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 제 6판, 현문사 (조경숙 김희경 외)
간암과 치료를 위한 안내 (삼성서울병원, 간암센터)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식도 정맥류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경정맥 간내 문맥-정맥 단락술(TIPS) | 검사/치료정보 | 세브란스 병원
황옥남 외 공저(2019년), 성인간호학 상하권, 현문사
이은희 외 공저(2019년),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9년), 기본간호학 I, II, 현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차병헌 외, 『병리학』, 고문사, 2019.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8.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2019.
박혜숙, 『성인간호학실습1지침서』, 수문사, 2020
이충재 외,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고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