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TAH 신체상 장애의 정의
TAH 신체상 장애의 정의는 자궁 수술로 인한 신체의 변화와 심리적 반응이다. 자궁절제술은 여성의 생식기관 중 하나인 자궁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러한 수술로 인해 여성의 성기능과 성 정체성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신체구조의 변화로 인해 수치심, 자존감 저하 등의 심리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TAH 신체상 장애는 자궁절제술로 인한 실제적이고 지각된 신체 변화로부터 비롯되는 부정적인 감정과 반응을 의미한다.
1.2. TAH 신체상 장애의 발생 원인
TAH 신체상 장애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첫째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가설이고, 둘째는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이다. 자궁선근증은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자궁의 비정상적인 증식은 여성의 신체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생리통, 월경과다 등의 증상으로 인한 불편함과 자궁절제술 등의 수술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은 여성의 자아상과 정체성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걱정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TAH 신체상 장애의 발생 원인은 자궁내막 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이로 인한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1.3. TAH 신체상 장애의 주요 증상
TAH 신체상 장애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빈혈을 동반한 생리 과다와 생리통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도 주요한 증상이 된다. 전형적으로 40대에서 50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전체의 1/3 정도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불임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자궁의 크기가 커져 임신 시의 자궁 크기와 유사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들기도 한다.
출산을 하지 않은 여성보다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또한 증상 없이 갑자기 발생하여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2. 간호사정
2.1. 개인력 및 가족력 사정
강OO은 54세의 기혼 여성으로 선근증(adenomyosis) 진단을 받고 복식 전자궁절제술(TAH)을 받기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병력상 경산부로 출산력은 G0-T0-P0-A0-L0이다. 과거력 및 수술력은 없으며, 가족력에도 특이 사항이 없었다. 최근 투약 상태 및 알레르기 반응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입원 당시 정상적인 의식 상태와 지남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2.2. 건강력 사정
현병력은 생리가 많이 나오고 생리통이 심해 초음파검사를 받았다가 선근증 진단을 받고 복식 전자궁절제술(TAH)을 받기 위해 입원한 것이다. 이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과거력에는 과거에 앓았던 질병, 입원 경험, 외상 경험, 수술 경험, 약물 복용 경험, 수혈 경험 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력 또한 특이사항이 없었다. 마지막 월경일은 2022년 12월 1일이며, 출산력은 G0-T0-P0-A0-L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액형은 Rh+A형이다.
2.3. 활력징후 및 신체검진 소견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다음과 같다. 혈압은 168/92mmHg로 높은 편이며, 맥박은 79회/분, 호흡은 18회/분, 체온은 36.1°C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