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개론 중간과제
1.1. 제1간호혁명과 제2간호혁명의 차이점과 역사적 시사점 이해
1.1.1. 제1의 간호혁명과 역사적 시사점
나이팅게일은 크림반도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군 의료 체계의 대대적인 개선을 제안했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행동에 돌입했다. 정부와 군부 곳곳에서 갖가지 반발과 핑계가 나왔지만, 그녀는 길고도 꾸준한 싸움으로 하나하나 승리를 쟁취해 갔다. 필요하다면 개인적 명성에 호소하기도 했고, 영향력 있는 친구나 친지까지 인맥을 총동원했으며, 때로는 크림반도에서 보고 들은 영국군 야전 병원의 끔찍스러운 실태를 대중 앞에 폭로하겠다며 군부 고위층에 협박까지도 불사했다. 특히 1859년에 출간한 「간호에 관한 일들」이라는 저서는 병원 환경의 위생, 정확한 통계, 병동관리, 올바른 간호를 위해 알아야 하는 병원관리 등의 내용뿐만 아니라, 병원 내부의 위생시설, 개인위생, 정신건강, 증상관찰의 중요성, 간호 행정 담당자의 윤리적인 지도를 다루고 있어 세계 각국어로 번역되어 간호법과 간호사 양성의 기초 자료가 되고 있다. 1859년, 그녀의 친구이자 후원자인 시드니 허버트가 육군성 장관이 되면서 군 의료 개혁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불과 2년여 뒤에 허버트가 갑자기 사망함으로써 나이팅게일은 정계에서 강력한 후원자를 잃어버렸지만, 이때부터는 가난과 질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면서 전반적으로 의료 및 위생 수준이 향상되었다. 나이팅게일은 크림 전쟁 당시에 영국에서 조성된 '나이팅게일 기금'을 이용해서 세인트토머스 병원에 '나이팅게일 간호학교'를 설립했고, 세심·절제·공평·인내를 모토로 간호교육을 체계화해 많은 수의 우수한 간호사를 양성하였다. 이후 여러 곳에서 나이팅게일의 정신에 영향을 받은 유사한 간호사 양성 기관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병원 군대의 간호개혁 외에도 인도문제, 공중위생, 위생통계 등 넓은 분야에 관여하였으며, 적십자 사상도 그녀의 영향에 의한 것이 많다. 나이팅게일은 간호 감독을 맡으며 간호 체계를 개선해 나갔고, 단순히 잡일을 도맡았던 간호사들이 병원에서 제대로 된 업무를 맡으면서 환자들의 사망률도 크게 떨어졌다. 크리미아전쟁에서 나이팅게일의 업적은 군대위생제도와 관리제도의 혁신, 의학실험실 비치 및 군의학교 설치, 군인휴게소와 군인가족 돕기 운동, 군인 우편제도 및 저금제도 실시, 간호교육기금으로 간호사 양성소와 성 토마스 병원에 간호학교 설립, 군대의 의무행정 개선안 제시, 병원보고의 도표화 추진, 질병과 사망을 합리적으로 분류하는 등이었다. 나이팅게일의 이념은 '간호는 직업이 아니라 사명이다', '간호란 질병을 간호하는 것이 아니고 병든 사람을 간호한다', '간호사업은 비종교적이어야 하며, 간호사의 신앙은 존중되어야 한다', '간호사는 어디까지나 간호사이지 의사는 아니다, 즉 간호는 독립된 직업이다', '간호사는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긍지와 가치관에 따른 간호활동을 하는 것이다' 등이었다.
1.1.2. 제2의 간호혁명과 역사적 시사점
펜위크는 나이팅게일 이후의 영국 간호계의 근대화와 부인운동의 지도자였다. 1881년 맨체스터병원에서 간호교육을 받은 후 바돌로뮤병원의 간호부장을 역임하면서 간호상황 개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펜위크는 일정기준으로 무자격 간호사를 자격 간호사로 대체하고 간호교육을 실시하였다.
1887년, 펜위크는 간호사의 단결을 주장하며 영국간호협회를 창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