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대표적인 유가 사상가로,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그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을 주장하며, 도덕적 수양을 통해 악한 성품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민본주의와 왕도정치를 주장하며 백성을 위한 정치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더불어 교육을 통한 인간의 도덕성 함양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맹자의 사상은 당시 사회 혼란 속에서 인간의 본질과 정치, 교육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2. 맹자 인물소개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 사상가인 맹자는 제후가 유능한 인재들을 찾는 전국시대에 배출된 제자백가중 한 사람이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으며 인과 의를 중요하다고 여겼다. 특히 맹자의 윤리사상과 정치사상의 중심은 성선설로서, 사람의 성질은 모두 똑같으며 착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맹자는 이러한 성선설을 주장하며 인간이 인 해야만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맹자의 출생과 관련하여 그가 노나라 세력가 중 한 가문인 맹손씨의 자손이라는 설이 전해지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맹자의 이름이 맹가로 이름인 가(軻)는 수레를 뜻하는 말로 볼 때, 맹자가 성년이 되어 학자로써 제자들과 천하를 주유하면서 왕도와 인의를 알리던 고단한 미래를 예감하게 한다. 맹자는 알려진 바와 같이 어머니의 교육열로 인해 성장할 수 있었다고 전해지며, 일설에 맹자가 공자의 손자이자 수제자인 자사에게 직접 유학을 배웠다고 하지만 연대상 자사에게 직접 배웠다기보다는 자사의 문인에게 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맹자 자신도 "공자의 직계 제자가 될 수는 없었지만 공자를 계승한 이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맹자는 당시 제자백가가 난립하며 다양한 사상이 경쟁하는 시기에 공자의 인의 사상을 더욱 심화 발전시켜 받아들이고, 양주와 묵적 등의 다소 이단적이라고 여겨지는 학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존숭하고 그의 가르침을 간접적이지만 확실히 흡수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3. 맹자 주요사상과 철학소개
3.1. 성선설
3.1.1. 성선설과 성악설 비교
공통점은 첫째, 생리적인 욕구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맹자는 성선설을 주장했지만 인간에게 동물적인 본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였고, 순자 또한 이와 같은 입장이었다. 둘째, 수신과 학습을 통해 인간이 선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긍정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인간을 낙관적으로 바라보았다고 볼 수 있다.
차이점은 첫째,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맹자는 인간의 심성에 천도가 깃들어 있기에 선천적으로 선해질 수밖에 없다는 천입합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순자는 인간과 자연을 구분하는 천인지분의 사상에 따라 인간은 감정적인 욕구만이 존재하며 이를 조절하는 것이 인간만의 역할이라고 하였다. 둘째, 선악의 기준을 설정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이다. 맹자는 선악의 기준을 인간의 내면에 두는 주관적인 것으로 보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