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 최근 10년(2013년 ~ 2023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 내 최근 10년(2013년 ~ 2023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현황
3. 노인 빈곤 문제와 실태
3.1. 노인 빈곤의 원인
3.2. 노인 빈곤의 문제점
3.3. 노인 빈곤에 관한 정책 및 제언
4. 산업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4.1. 산업복지의 개념
4.2. 산업복지의 필요성
4.3. 우리나라 산업복지의 문제점
4.4. 우리나라 산업복지의 전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경기 이천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50대 하청노동자가 끼임사고로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산업재해는 지금도 현장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작년 SPC 공장에서 근무하던 직원이 소스배합기에 끼어 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작업지시를 내리는 것은 물론이며 기업의 적절한 대응이 없자, 온국민이 파리바게트를 비롯한 SPC 계열 제품의 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기업의 상태와 경영자의 경영방식에 따라 근로환경이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본청직원과 하청직원의 급여 및 노동환경의 차이가 다르다. 또한 대상별 산업복지 요구의 격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는 사회보장제도를 확대하고,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및 영세기업에 대해서는 근로자의 취약한 노동환경 및 기업 환경의 보완을 요청하는 등 산업복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론에서는 산업복지의 개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산업복지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조사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산업복지의 문제점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며 산업복지의 전망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겠다. []
2. 한국 내 최근 10년(2013년 ~ 2023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현황
최근 10년간 한국 내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3년 대비 2023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자 수가 약 2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제조업, 건설업, 물류 분야에서 로봇 도입이 확대되면서 관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2013년 한국의 로봇 관련 산업재해 발생건수는 약 500건이었으나 2023년에는 1,200건을 넘어섰다. 사망자 수 또한 2013년 20명에서 2023년 45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제조업, 건설업, 물류 분야에서의 로봇 활용이 급증하면서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소기업 및 영세사업장에서는 로봇 도입에 따른 사전 안전교육 및 관리감독이 미흡하여 사고 위험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중소기업 사업장의 로봇 관련 재해 발생건수가 전체의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로봇 운용 과정에서의 안전불감증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설치 및 점검 등 로봇 관련 작업 시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거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안전장치를 무력화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은 로봇 도입 및 운용과 관련한 안전관리 체계 강화, 안전교육 강화, 관련 법제도 정비 등 다각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3. 노인 빈곤 문제와 실태
3.1. 노인 빈곤의 원인
노인 빈곤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 후 급여 수준의 하락이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국민연금과 같은 연금 제도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금 급여액은 퇴직 전 소득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즉, 경제활동을 하던 때의 소득과 비교하면 상당한 수준의 소득 감소를 경험하게 된다.
둘째, 국민연금과 같은 노후 소득보장 제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이다. 우리나라 노인들은 개인연금이나 퇴직금 등 다양한 노후자금 마련 방식 대신...
참고 자료
김태주 기자 “폐지 수집 노인 39%가 우울증” 조선일보. 2023.12.29.
박진석 기자 “올해 국민연금 급여액 3.6% 인상…기초연금 월 최대 33만4810원” 데일리안. 2024.1.9.
양종곤 기자 “산재사망 2명 중 1명은 고령자…노인 빈곤율 1위의 ‘민낯’” 서울경제. 2024.1.3.
이현정, 유승혁 기자 “70대이상 노인, 20대 첫 추월…빠르게 늙어가는 한국” 서울신문. 2024.1.10.
최다희 기자, “노인 빈곤율 14년째 OECD 1위···76세 이상 2명 중 1명은 '빈곤'”, KTM국민방송. 2023.12.19.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건강정보 홈페이지_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system.do?mode=view&articleNo=67039&title=%EB%82%99%EC%83%81+%5BFall+down%5D
질병관리본부 국가 건강정보 포털_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743
MSD 매뉴얼 낙상_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85%B8%EC%9D%B8%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A%B3%A0%EB%A0%B9%EC%9E%90-%EB%82%99%EC%83%81/%EA%B3%A0%EB%A0%B9%EC%9E%90-%EB%82%99%EC%83%81
“뒤로 넘어지면 4배 충격...”노년층 20%는 사망“”/ KBS 2022.01.02. https://www.youtube.com/watch?v=dzif1VyAI-A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낙상예방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BCD8&MENU_ID=006008013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낙상예방교육의 효과; 심송미 부산다톨릭대학교 대학원
노인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이안숙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KOSIS 국가통계포털_ 추락 및 낙상 손상환자
노병일, 『산업복지론』, 공동체, 2021.
문명주, 한국산업복지의 현실화방안에 관한 연구-중소기업노동인간화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안향숙, 「생산적 복지시대의 산업복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우재현, 「산업복지론」, 경진사, 1998, p.43
임아영, 30대 여성 ‘경력단절’, 재취업 선택지는 ‘저임금 단순 일자리’, 경향신문, 2023.03.16.
신정환, 「탐욕 외에도 냉혹한 이윤 시스템 탓이다」, 노동자연대, 2022.10.21
조해람, 신안건설산업 아파트 공사현장서 끼임사고…치료 4일째에 사망, 경향신문, 2023.03.16.
전주희, 「‘혁신기업' 쿠팡 노동자 연쇄사망, 정부는 왜 손 놓고 있나?」, 프레시안,
20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