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 개론
1.1. 간호의 본질
1.1.1. 간호의 정의와 과학적/예술적 특성
간호는 인류 역사와 더불어 모성적 본능에서 자연 발생으로 시작되었으며 인간의 생명 유지와 생존 욕구를 충족시키는 돌봄과 보살핌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에서는 간호를 모든 개인, 가정,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건강의 회복, 질병의 예방,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국제간호사 협의회에서는 건강, 불건강을 막론하고 건강한 생활과 건강 회복 시 개인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의지와 지식 및 힘이 부족할 때 이를 보충해 주는 것이며 이를 통해 대상자가 독립을 빨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미국 간호협회에서는 간호를 국민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간호의 과학적 특성은 최신의 과학적 지식과 원리와 근거에 기반한 접근으로 간호학문의 지식체의 확장과 검증을 통한 전문성을 구축하는 것이다. 간호의 예술적 특성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 경험과 직관 능력을 바탕으로 간호대상자마다 개별화되고 고유한 환자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보기보다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지식체를 획득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간호는 과학적 접근과 예술적 접근이 융합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간호의 4가지 메타 패러다임
인간은 생리적, 사회·심리적, 영적으로 상호 연관된 통합된 총체로서 유기체의 모든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하위체계로 구성된 개방체계로서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환경은 생명체를 둘러싸고 있는 일체의 사물 혹은 유기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이다. 환경은 생태학적 환경과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나뉘며, 문화는 세대를 따라 지속되는 개인의 태도, 신념 및 행동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인간 행위의 총체적인 양상이다.
건강은 일생을 통해 다양하게 경험하는 역동적인 현상으로 내외 환경과 상호작용 하는 것이다. 최적의 건강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건강의 균형상태이며 인간의 건강상태는 역동적이다.
간호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기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간호의 목적은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존중하는 것으로부터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며 건강을 회복하고 고통을 경감 하는 데에 있다. 간호는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방향으로 도와주는 전인 간호로 통합될 수 있다.
1.2. 생명윤리원칙 및 윤리규칙과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생명의료기술의 발달과 생명공학 연구의 급속한 진전으로 안락사, 인공수정, 인간복제 등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보참과 칠드래스는 생명윤리학의 4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인간이 자신과 타인의 자율적 자기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악행 금지의 원칙은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주거나 해를 끼칠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이다. 셋째, 선행의 원칙은 타인의 선을 적극적으로 증진시키는 윤리원칙이다. 넷째, 정의의 원칙은 간호대상자들 중 누구를 먼저 돌볼지에 대한 공평한 분배의 원칙이다.
이러한 윤리원칙은 각각 도덕이론에 근거하고 있어 상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체적인 윤리적 문제 해결 시에는 여러 원칙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한다.
윤리규칙은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