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주태양광발전 원리와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태양광발전시스템 개요
1.1. 태양광발전의 정의 및 역사
1.2. 태양광발전의 원리
1.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요소
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종류
2.1.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
2.2.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
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특징
3.1. 환경친화적 발전방식
3.2. 발전규모의 자유도
3.3. 무인운전 가능
4. 태양광 산업의 시장 동향 및 전망
4.1. 태양광 발전의 성장 전망
4.2. 태양광 시장 규모 전망
4.3. 태양광 산업의 경쟁요소
5. 태양광 산업의 기회요소 및 제한요소
5.1. 기회요소
5.2. 제한요소
6.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의 대응 방안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태양광발전시스템 개요
1.1. 태양광발전의 정의 및 역사
태양광발전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 그 역사는 200년이 되지 않는다. 태양광발전의 역사는 1839년 알렉산더 베크렐이 빛이 전도 용액의 전극에 부딪히면 전류가 발생하는 광기전효과를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873년 윌로비 스미스가 셀레늄이 태양광을 받으면 전기저항값이 현저히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했고, 1884년 찰스 프릿츠가 얇은 금박을 입힌 반도체 셀레늄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 1%의 최초의 태양 전지를 발명했다. 이후 1954년 벨 연구소에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에너지 효율 6%의 실리콘 태양 전지가 발명되면서 현대적인 태양광발전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2. 태양광발전의 원리
태양광발전의 원리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태양전지는 크게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반사방지막과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접합면을 p-n접합이라고 한다. p-n 접합면에서 전기장이 흐른다.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입사하면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는 에너지 상태가 높아지고 전자 공동인 양공이 생성된다. 내부 전기장의 영향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양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공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외부 회로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을 얻을 수 있다.
태양전지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필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빛을 흡수하여 전자-양공 쌍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전하 운반자인 전자와 양공이 분리되어야 한다. 셋째, 외부 회로를 통해 전하 운반자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태양광발전의 원리는 태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반도체 소자인 태양전지의 광기전효과를 이용한다.
1.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요소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요소는 태양전지 모듈, 축전지, 인버터, 조절기, 배선 및 기타 부속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핵심 부품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 생산을 담당한다. 모듈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되며, 태양 전지의 면적과 효율에 따라 출력이 결정된다.
축전지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는 축전지가 없지만, 독립형 시스템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축전지 용량은 시스템의 규모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인버터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시켜 전력계통이나 수요처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의 용량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격용량에 맞추어 선정된다.
조절기는 태양전지와 축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과충전이나 과방전을 방지하고,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선 및 기타 부속장치는 시스템의 안전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와 같이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발전, 저장, 변환,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종류
2.1.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직류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망에 연계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태양광발전시스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로, 주택, 빌라, 옥상, 대지 등 대규모 설치가 가능하다.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태양전지 모듈, 인버터, 변압기, 전력계통 연계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직류전력은 인버터를 통해 교류전력으로 변환된다. 이후 변압기를 거쳐 전압이 조정되어 전력망에 연계된다. 이때 전력계통 연계장치는 계통과의 연계를 관리하고, 계통 이상 발생 시 태양광발전시스템을 독립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장점은...
참고 자료
송기인, RPS에서 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전망, KSME, 2012
손영준,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2), KSME, 2019
잭 챌리너,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1001가지 발명품, 마로니에북스, 2010
정호선, 태양전지와 그 이용기술, 대한전기학회, 1982
이필립 외 1명, 반투명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투명전극 소재,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8
황용길, CIS계 태양전지 재료의 기술동향, RESEAT, 2010
https://ko.wikipedia.org/wiki/%ED%83%9C%EC%96%91_%EC%A0%84%EC%A7%80#cite_note-1 위키백과 > 태양 전지
https://blog.naver.com/miraeeg/222249124907
네이버 블로그 > 미래에너지산업 > 태양광에 대한 기초 알기[태양전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3328&cid=58941&categoryId=58960
네이버 지식백과 > 물리산책 > 태양 전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2724&cid=62802&categoryId=62802
네이버 지식백과 > 화학백과 > 태양 전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2460&cid=40942&categoryId=32372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 태양 전지
https://www.scienceall.com/%EA%B4%91%EA%B8%B0%EC%A0%84%ED%9A%A8%EA%B3%BCphotovoitaic-effect/ 사이언스올 > 과학백과 > 광기전효과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2770731&memberNo=35415753&vType=VERTICAL 네이버 포스트 > 궁금해 박사의 신비한 광학 사전 > 우리 집에 태양광 전지판을 설치한다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82576&cid=47340&categoryId=47340
네이버 지식백과 > 학생백과 > 청소년을 위한 미래과학 교과서-신재생에너지 > 태양전지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chomdan_&logNo=221188729925 네이버 블로그 > 헬로티 공식 블로그 > 전기에너지기술 > 태양전지의 원리와 종류 및 특성 –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원리와 구성 및 단독운전검출과 FRT 조건 [전기에너지기술] TECH SERIES
민재형, (엑셀을 활용한)통계 데이터 분석, 법문사, 2010.
박종화, 알기 쉬운 태양광발전, 문운당, 2012.
박형동 외, 신재생에너지, 도서출판 씨아이알, 2012.
서재홍, 세계 태양광시장 현황 및 전망과 시사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42호, 2013.
윤중호, 신재생에너지 설계 시공방안 및 사례, 에너지관리공단, 2005.
이수홍, 실리콘 태양전지, 고분자과학과 기술, Vol.28, No.6, 2008.
이재우, 해외경제연구소, 2015-2분기 태양광산업 동향, 2015.
이철송, 최적의 운영효율을 적용한 태양광 발전 솔루션, 대한산업공학 외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제1권, 2015.
장영호, 서울시 공공시설물 정책과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DID논문집, 2012.
정호철, 태양광시장의 Turn around - 국내 태양광산업의 방향, Korea Photovoltaic Conference 2013, SNE Research, 2013.
지식경제부, 공공기관 신축 건축물에 대한 신ㆍ재생에너지 설치의무화사업 안내, 2012.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백서, 2014.
한국에너지공단, 2016 신.재생에너지 백서, 2016.
함봉균, 그린데일리, 기가와트(GW) 훌쩍 넘어선 태양광, 올해도 50% 더 늘어난다,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