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노케어서비스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선정이유
1.2.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정의
2. 본론
2.1. 우리나라 인구변화
2.1.1. 총인구와 인구성장률 추계
2.1.2. 연령계층별 인구 구조
2.1.3.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2.2. 인구고령화 촉진 원인
2.3. 인구고령화 따른 가구변화의 사회경제적영향
2.4. 돌봄서비스 현황
2.5. 대표사업
2.5.1. 노노케어(老老care)
3. 결론
3.1. 노인돌봄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2. 전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선정이유
한국의 고령사회로 진입은 전 세계 어느 국가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 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2019년 통계청이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45년에는 세계에서 고령 인구가 가장 높은 국가가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러한 사회모습의 변화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대한 대책에 대하여 깊게 인식하고자 '노인맞춤돌봄서비스'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노인의 기능·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이처럼 중요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노인복지 정책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1.2.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정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노인의 기능·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을 목적으로 하여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중 독거·조손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정부는 급속한 인구고령화 진행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노인 빈곤율 및 자살률 증가 등 고령화에 따른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004년부터 노인 일자리사업을 추진하였고, 그 일환으로 2005년 '노노 간병사업'을 시작하여 2015년부터는 전국적으로 '노노케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취약노인의 일상생활 지원과 자립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정부의 주요 정책사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2. 본론
2.1. 우리나라 인구변화
2.1.1. 총인구와 인구성장률 추계
우리나라의 총인구와 인구성장률 추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2020년 5,184만 명에서 2070년 3,766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우리나라의 인구성장률이 2021~2035년 -0.1% 수준으로 나타나고 이후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70년에는 -1.24%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총인구 감소와 함께 인구성장률의 급감은 코로나19 사태 등의 영향으로 인해 실제로는 더욱 낮은 결과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혼인 급감으로 합계출산율이 더욱 감소하면서 출생아보다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여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한층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총인구와 인구성장률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고령화 사회로의 진전을 가속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다.
2.1.2. 연령계층별 인구 구조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향후 10년간 생산연령인구는 357만 명으로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490만 명으로 증가한다. 생산연령인구와 유소년인구 비중은 감소하고, 고령인구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인구성장률 또한 감소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인구변화의 주요 원인은 저출산으로 인한 젊은층의 감소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령화에 따른 고령인구 증가이다. 향후 고령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생산인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인구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인...
참고 자료
노노케어 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간접적 건강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5.6.30.
윤순덕 and 채혜선. (2008). 농촌지역 사회적 노노돌봄의 문제점에 대한 사례연구. 노인복지연구, 40, 31-54.
2018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노노돌봄 현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https://www.humanrights.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001004002001&boardtypeid=16&boardid=7604479
노노케어의 어두운 그림자. 새만금일보. http://www.smgnews.co.kr/174946
신해윤, 방미선 and 권수혜. (2020). 노노케어(老老-care)사업 참여노인의 돌봄제공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22(3), 258-270.
충청남도 노노케어 활성화 방안. 충남리포트 Vol.286. 2017.12.13. 김용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만성퇴행성질환과 발병위험. 정신보건.
https://www.khepi.or.kr/board?menuId=MENU01357&siteId=SITE00012
남동구노인인력개발센터, 노노케어 참가자 치매 조기검진 실시. 주지숙. 2022.11.17. 데이터월드뉴스.
http://m.dataworldnews.co.kr/view.php?ud=2022111714183648663f2b9pn2dw_80
진봉희(2019). 노인자원봉사 참여동기 및 자원봉사 활동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양가민(2015), “노인의 자원봉사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