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의 수초 탈락으로 인한 전도 장애를 동반하는 만성 진행성 자가면역 질환이다. 주기적인 악화와 완화를 보이며, 근허약, 감각이상, 운동실조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 질환의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발성 경화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와 함께 영상의학적 검사, 뇌척수액 검사 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발성 경화증의 병태생리와 증상, 진단 과정을 살펴보고,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건강력 및 체계적인 신체사정, 그리고 간호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2. 다발성 경화증의 개요
2.1. 다발성 경화증의 정의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으로, 주로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수초란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이며, 수초가 벗겨져 탈락될 경우 신경신호의 전도에 이상이 생기고, 해당 신경세포가 죽게 된다. 임상적으로 재발과 완화를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며, 초기에는 재발한 후 장애 없이 증상이 호전되지만 시간이 지나고 재발이 반복되면 완전히 호전되지 않고 장애가 남게 된다. 발병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자연적으로 치유될 때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2.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자가면역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 유전적 요인이 있다는 것은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결정짓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인마다 고유한 유전적 배경이 다발성 경화증 발병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있는 환자에게 주위 환경이 자가면역반응을 유발하여 다발성 경화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 단일 우성 유전자가 아닌 여러 개의 유전자가 질병 감수성 결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기전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유전적 및 자가면역적 요인이 주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은 다발성 경화증의 병태생리와 증상 발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2.3.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의 수초탈락으로 뇌와 척수의 전도장애를 초래하는 만성진행성 퇴행성 자가면역성 신경계 질환이다. 주기적으로 완화기와 악화기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중추신경계의 백질 부위에 반점이 무작위로 군데군데 생기는 염증성 반응이 특징이다. 수초는 손상을 입고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근허약, 강직, 피로, 의도성 진전, 감각이상 통각감퇴, 운동실조, 언어 및 연하장애, 이명 현훈, 배변과 배뇨장애, 성기능 변화, 인지장애, 복시, 안구진탕증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중추신경계의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