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ervical myelopathy근력저하와 관련된 보행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경추척수증의 정의 및 중요성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경추척수증의 원인
2.1.1. 경추증성 척수증
2.1.2. 추간판탈출증
2.1.3. 후종인대 골화증
2.1.4. 황색인대 골화증
2.2. 경추척수증의 병태생리
2.2.1. 척주와 척추의 구조 및 기능
2.2.2. 추간판의 역할
2.2.3. 척수의 구조와 기능
3. 증상 및 진단
3.1. 경추척수증의 임상 증상
3.2. 진단 방법
3.2.1. 자기공명영상(MRI)
3.2.2. X-ray 검사
3.2.3. CT 검사
3.2.4. 신경학적 검사
4. 치료 및 간호
4.1. 보존적 치료
4.1.1. 약물 치료
4.1.2. 물리치료
4.2. 수술적 치료
4.2.1. 전방 접근법(ACDF)
4.2.2. 후방 접근법(Laminectomy, Laminoplasty)
4.2.3. 복합 접근법
5. 결론
5.1. 연구 요약
5.2. 경추척수증 관리를 위한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경추척수증의 정의 및 중요성
경추척수증(cervical myelopathy)은 경추부 척수가 압박을 받아 손과 다리의 근력이 약해지고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경추척수증은 제 5, 6경추부에 주로 잘 발생하며, 목디스크, 뇌졸중으로 오진되기 쉬워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경추척수증은 평균 수명의 증가와 함께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질환으로, 현재 고령화 사회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일반 대중들에게는 생소한 질병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지연되어 돌이킬 수 없는 상태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경추척수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경추척수증은 경추부 척수가 압박을 받아 손과 다리의 근력이 약해지고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평균 수명의 증가로 노인 인구와 함께 환자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질환이며, 쉽게 오진되기 쉬운 질병이므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경추척수증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경추척수증은 척수를 압박하는 병변이 있을 때 생기며, 그 원인으로는 경추증성 척수증, 추간판탈출증, 후종인대 골화증, 황색인대 골화증 등이 있다. 이러한 병변들로 인해 척수가 압박을 받게 되어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경추척수증의 증상은 다른 질환과 유사하여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경추척수증은 양측 팔다리의 저림, 마비 등의 증상을 보이는 반면, 목디스크는 한쪽 팔다리의 저림, 마비를, 뇌졸중은 급작스러운 한쪽 팔다리의 저림, 마비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의 차이를 통해 감별진단할 수 있다.
경추척수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MRI, X-ray, CT 등의 영상검사와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MRI는 가장 정확한 검사 방법으로, 척추 질환 진단, 신경 압박 정도, 수술 여부 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X-ray와 CT 검사는 척추관이나 추간공의 협착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보행 장애, 손 기능 장애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경추척수증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지만, 증상이 악화되거나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에는 전방 접근법(ACDF), 후방 접근법(laminectomy, laminoplasty), 복합 접근법 등이 있다. 전방 접근법은 주로 추간판탈출증에 의해 경추척수증이 발생한 경우, 후방 접근법은 많은 부위의 척수강이 좁아진 경우에 시행하며, 복합 접근법은 경추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심한 경우에 사용된다. 수술 후 회복을 위한 간호도 중요하다.
경추척수증은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경추척수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앞으로 경추척수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문헌고찰
2.1. 경추척수증의 원인
2.1.1. 경추증성 척수증
경추증성 척수증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추간판의 변성으로 추간판 간격이 감소되고, 후관절낭 및 인대의 이완으로 불안정성이 생기며, 이에 대한 조직 반응으로 추간판 변연부의 골극형성과 황색인대 비후 등이 경추부 척수를 압박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경추의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면서 추간판이 좁아지고 척추 주변 인대들이 두꺼워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척수 및 신경근이 압박을 받게 되어 경추척수증이 발생한다. 경추증성 척수증은 가장 대표적인 경추척수증의 원인으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경추부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경추부의 디스크 퇴행, 후종인대 골화, 황색인대 비후, 골극 형성 등으로 척수 및 신경근이 압박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면 척수 및 신경근 압박에 의한 운동 및 감각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2.1.2. 추간판탈출증
추간판탈출증은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을 구성하고 있는 연골판(cartilaginous plate), 수핵(nucleus pulposus), 섬유륜(annulus fibrous)에서 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탈출하여 신경근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척추원반에서 단백질이 누출되면 신체는 그것을 이물질로 인식하여 통증과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추간판탈출증은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이 퇴화되고 섬유륜이 약해지면서 수핵이 돌출되어 신경근을 압박하게 되어 발생한다. 특히 요추 부위의 추간판탈출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경추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경추부에 발생할 경우 상지의 통증, 감각이상, 근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추간판탈출증은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 근육경련, 신경근 압박에 의한 감각이상과 근력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초기에는 단순 기계적 자극에 의해 통증이 시작되며, 점차 염증반응이 심해지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추간판탈출증의 진단은 MRI 검사나 CT ...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520
황옥남 외 공저, ⌜제 7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서울, 2019
이용덕 외 공저, ⌜알기 쉬운 인체병리학 4판⌟, 학지사메디컬, 서울
김/금순 외 공저, ⌜여덟째판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경기도 파주, 2016
- 호승희, 유소연, 김예순, 방문석, 이범석, 김동아, 김은주, 김현경. (2015.05). 척수손상 환자를 위한 병원기반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9(2), 89-103.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2018)/ 수문사/ 성미혜 외
Nursing Care Plans. 9th Edition(2014)/ Marilynn E. Doenges, Mary Frances Moorhouse, Alice C. Murr/ F.A DAVIS COMPANY
대한척추외과학회
http://www.spin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