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축산환경학 자연생태계와 농업생태계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연생태계와 농업생태계의 차이
1.1. 자연생태계의 개념 및 특성
1.2. 농업생태계의 정의 및 특징
1.3. 자연생태계와 농업생태계의 차이점
2. 토양오염의 특징과 주요 원인 물질
2.1. 토양오염의 정의 및 특징
2.2. 토양오염의 주요 물질
2.2.1. 농약
2.2.2. 영양물질
2.2.3. 중금속
2.2.4. 유류 오염
3. 축산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와 저감 방안
3.1. 축산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발생원
3.1.1. 가축의 소화 과정
3.1.2. 가축 분뇨 처리
3.2. 온실가스 저감 방안
3.2.1. 저감 사료 급여
3.2.2. 초산균의 이용
4. 공장식 축산에서 동물복지축산으로의 전환
4.1. 공장식 축산의 문제점
4.2. 동물복지축산의 필요성
4.3. 동물복지축산으로의 전환 방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연생태계와 농업생태계의 차이
1.1. 자연생태계의 개념 및 특성
생물들은 여러 가지 수준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조직화한 것이 생태계이다. 자연생태계는 생물계와 그 생물계가 존재하는 환경인 생물군계를 모두 포함한다. 생물계에는 고세균계, 진정세균계, 동물계, 식물계, 균계가 존재하며, 이들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각각 작용하여 생태계 안에서 에너지를 순환시킨다. 생물군계는 열대우림, 사막, 초원, 온대림, 타이가, 툰드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생태계는 이러한 다양한 환경과 생물군을 모두 포괄하고 있으며, 자연적으로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며 먹이사슬을 통해 먹고 먹히면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개체수의 균형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1.2. 농업생태계의 정의 및 특징
농업생태계는 인간이 경제적 목적으로 특정 작물을 집중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조성한 생태계이다. 농업생태계는 자연생태계와 달리 생물다양성이 낮고 불안정한 특징을 지닌다.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농경지가 만들어지면 원래의 토양과 식생이 파괴되고, 소수의 작물들만이 집중적으로 재배된다.
자연생태계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공존하지만, 농업생태계에서는 인간이 경제적 목적을 위해 특정 작물 위주로 재배하기 때문에 단일 작물이 우점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작물만을 가해하는 해충과 병원균이 발생하기 쉬우며, 작물 보호를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농업생태계에서는 자연적인 천이과정이 일어나지 않고, 인간이 작물 재배를 위해 끊임없이 개입하여 인위적으로 관리한다. 농작물 수확 후 농경지가 비워지면 다시 새로운 작물이 재배되는 것이 반복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물다양성이 낮은 불안정한 생태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농업생태계는 자연생태계에 비해 생물종의 다양성이 적고 인위적인 관리가 필요한 인공적인 생태계라고 할 수 있다.
1.3. 자연생태계와 농업생태계의 차이점
자연생태계와 달리 농업생태계는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생태계이다. 자연생태계는 다양한 생물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농업생태계는 특정 농작물 위주로 재배되므로 생물종 다양성이 낮다. 농업생태계에서는 작물 재배를 위해 화학 비료와 살충제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토양을 오염시키고, 잡초와 병해충을 제거하는 등 자연 생태계의 균형을 해치게 된다. 또한 농업생태계는 폐쇄적인 시스템으로 생산자-소비자-분해자의 먹이사슬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에너지와 영양분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다. 이처럼 농업생태계는 자연생태계와 달리 인간이 경제적 이익을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한 불안정한 생태계라고 할 수 있다.
2. 토양오염의 특징과 주요 원인 물질
2.1. 토양오염의 정의 및 특징
토양오염은 여러 가지 오염 물질이 토양에 유입되어 자연 정화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토양은 쉽게 오염되지 않지만, 한 번 오염되면 오염물질이 잔류하여 지속적인 오염으로 이어지기 쉽다. 토양은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며 영양소와 수분을 흡수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토양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은 그대로 식물체내로 이동하여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먹는 동물이나 인간에게 해를 끼치게 된다. 또한 토양오염물질은 빗물에 흘러 수질오염원이 되거나, 대기중으로 확산되어 대기오염원이 되는 등 2차적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2.2. 토양오염의 주요 물질
2.2.1. 농약
농약은 작물을 해하는 잡초, 곤충, 균, 바이러스 등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농약 사용은 농업생산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토양에 잔...
참고 자료
고한종 외, 『농축산환경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양재의 외, 『농업환경학』, 씨아이알, 2008.
경향신문, 이하늬, 2017.12.30. 태안 기름유출 10년 “모두 쉬쉬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다”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 2007.3. 노기안, 농업생태계와 자연 보전
조선일보, 이성진, 2021.3.7. 문제는 원전이 아니라 들판의 소야... ‘그린뉴딜’의 허구
사이언스타임즈, 이강봉, 2019.12.17. 축산업 규모 줄여야 지구가 산다
농수축산신문, 이호동, 2020.2.28. 동물복지 계란 요즘 잘 팔려요
고한종 외, 『농축산환경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양재의 외, 『농업환경학』, 씨아이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