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능적 진단평가 면담
1.1. 행동기술
손톱 뜯기는 자신의 손톱을 이로 뜯어내는 행동이며, 하루에 5~6회 정도 5~10초 동안 지속되고 손톱에 피가 날 정도로 강도가 높다. 고함지르기는 으으/이이/뜨뜨 소리로 울부짖는 행동으로 일주일에 2~3회 정도 30~60초 동안 지속되며 얼굴이 붉어질 정도로 강도가 높다. 자신의 머리 치기는 벽이나 손으로 자신의 머리를 내리치는 행동으로 일주일에 3~4회 정도 5~10초 동안 지속되며 쿵 소리가 날 정도로 강도가 높다. 손으로 문자 쓰기는 걸어가다가 허공에 문자를 쓰는 행동으로 하루에 3~4회 정도 10~15초 동안 지속되며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지 않을 정도로 강도가 낮다.
이러한 행동들은 특히 식탁이나 소파에서 누운 자세로 앉아 있을 때, 바른 자세를 요청받으면 고함지르기와 자신의 머리 치기 행동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1]
1.2. 문제 행동을 예언하거나 일으키는 생태학적 사건
아동은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며, 의료적 또는 신체적 조건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까치발로 걸을 때 팔을 팔랑팔랑하는 행동과 음음음 스스로 소음을 만들어 내는 행동이 발생한다.
아동의 수면 패턴은 대체로 양호한 편으로, 식사 후 1~2시간 후 잠자리 준비를 하고 8~9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수면을 취한다. 그러나 원하는 반찬이 없는 경우 밥만 소량으로 먹기 때문에 오전에 화를 내거나 짜증 행동을 보인다.
가정과 학교에서 아동 주변에는 총 19명의 사람들이 있다. 사람이 많은 상황 속에서 아동은 신나게 잘 노는 모습을 보인다. 교내에서는 특수학급에서 1:1 수업을 받고, 통합 시간에는 보조교사와 함께 수업을 받고 있다. 가정에서는 할머니와 동생, 보모님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처럼 아동의 생활환경과 지원 체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편이나, 밥 먹기나 학업 상황에서 문제 행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아동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거나 원하지 않는 일을 해야 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1.3. 아동의 일상생활 일정
아동의 일상생활 일정은 다음과 같다. 아동은 07:00~07:30에 기상하여 07:30~08:00에 아침식사를 한다. 08:00~08:10에는 양치와 옷 입기를 하고 08:35~09:00에 등교한다. 오전 시간에는 09:00~09:40에 국어/언어 수업을, 10:00~10:40에 수학/문해력 수업을 받는다. 11:00~11:40에는 통합 상호작용 시간을 갖고 12:00~12:40에 점심을 먹는다. 오후에는 13:10~15:00까지 돌봄 교실에서 시간을 보내며 15:00~17:00에는 자율시간, 놀이터 이용, 간식 섭취 등의 시간을 가진다. 저녁에는 18:00~19:00에 숙제와 저녁식사를, 19:00~20:00에 여가시간과 취침을 한다.
1.4. 아동 주변의 사람 수와 상황
아동 주변의 사람 수와 상황이다. 교내에서 아동은 16명의 학생과 지도교사 및 보조교사와 함께 지내고, 가정 내에서는 3명의 가족과 지낸다. 아동은 사람이 많은 상황 속에서 신나게 잘 노는 모습을 보인다. 교내에서 아동은 국어, 수학 시간에 특수학급에서 1:1 수업을 받고 있으며, 통합 시간에는 보조교사와 함께 원반 수업을 받고 있다. 가정에서는 부모님이 올 때까지 할머니와 동생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이후 보모님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처럼 아동은 교내와 가정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지내고 있다.
1.5. 아동에게 제공되는 지원 형태
아동에게 제공되는 지원 형태이다. 아동은 교내에서 국어, 수학 시간에 특수학급에서 1:1 수업을 받고 있으며, 통합 시간에는 보조교사와 함께 원반 수업을 받고 있다. 가정에서는 부모님이 올 때까지 할머니와 동생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이후 보모님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처럼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