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동기시대 경제생활의 변화상과 군장의 등장이 갖는 사회적 의미
1.1. 청동기시대 경제생활의 변화상
청동기 시대에는 신석기 시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사냥, 어로, 채집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경제의 중심은 농업으로 자리 잡았다. 보리, 밀, 콩, 기장, 조, 수수 등의 다양한 곡물이 재배되었으며, 특히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반달돌칼, 홈자귀 등의 농기구가 등장하여 농업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였고, 간단한 관개시설을 이용한 논농사도 발달하였다. 그러나 벼농사가 보편화되지는 않았으며, 여전히 잡곡이 주요 식량원이었다. 농업의 발달로 인한 잉여 생산물의 축적은 사유재산의 등장과 계층 분화를 초래하였고, 지배계층인 군장이 출현하게 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 무기와 도구 등의 제작 기술이 발달하였으며, 토기와 석기 제작 기술 또한 발전하면서 수공업 전문 장인들이 등장하였다. 이와 함께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의미의 바위 그림이 제작되었다.
1.2. 군장의 등장이 갖는 사회적 의미
청동기 시대에 농업이 발달하면서 대규모 취락이 형성되고 정착 생활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여 잉여 생산물이 발생했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지도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농업의 발달과 더불어 사회적 부의 축적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지배 계층이 출현했는데, 이들을 '군장'이라고 한다. 군장은 부족을 통솔하고 제사를 주관하는 등 권력을 행사했으며, 그들의 무덤인 고인돌은 이들의 권위를 상징한다.
군장의 등장으로 인해 사회 계층화가 심화되었다. 군장을 중심으로 하는 지배 계층이 형성되었고, 그들은 청동제 무기를 소유하며 주변 지역을 정복하여 영역을 확장했다. 이로써 부족 간의 경쟁과 충돌이 빈번해지면서 더욱 복잡한 사회 구조가 출현했다. 특히 대규모 취락에 방어시설이 갖춰지고, 전쟁이 빈발하면서 강한 부족이 약한 부족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서열화된 사회가 형성되었다.
이처럼 청동기 시대의 경제적 변화, 특히 농업의 발달은 사회 구조의 변화를 초래했다. 잉여 생산물의 발생과 그에 따른 부의 축적은 새로운 지배 계층인 군장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고, 이는 다시 사회 계층화와 더욱 복잡한 정치 구조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청동기 시대 경제생활의 변화는 사회 변동의 핵심적인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6~7세기 삼국 관계와 대외항쟁
2.1. 삼국 간의 치열한 항쟁
신라는 진흥왕 때 한강 유역을 정복하여 국력이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