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개구리 발생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구리 발생 실험
1.1. 실험 목적
1.2. 배경 지식
1.2.1. 수정
1.2.2. 난할
1.2.3. 포배
1.2.4. 낭배
1.2.5. 기관형성
1.3. 가설
1.4. 실험 재료 및 방법
1.4.1. 실험 재료
1.4.2. 실험 방법
1.5. 결과
1.5.1. 수정란 과정
1.5.2. 2세포기
1.5.3. 후기 난할 과정
1.5.4. 낭배기 과정
1.5.5. 신경습 과정
1.5.6. 신경관 과정
1.5.7. 초기 올챙이
1.6.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구리 발생 실험
1.1. 실험 목적
개구리의 배 발생 과정을 관찰하여 각 단계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다. 수정, 난할, 포배, 낭배, 기관형성 등 개구리 배 발생의 주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발생의 의미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발생은 단세포성인 생식세포가 수정 과정을 거쳐 다세포성 생명체로 발달하는 과정이다. 개구리는 완전난할을 하는 동물로 수정란이 빠르게 세포분열을 하여 배를 형성한다. 수정란의 동물극과 식물극에서 시작된 난할은 포배와 낭배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다양한 기관으로 분화된다. 이러한 발생 과정의 관찰을 통해 발생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개구리 배 발생의 각 단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단계별 특징을 확인할 것이다. 수정란부터 초기 올챙이 단계까지 주요 발생 과정을 단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개구리 발생의 전반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배경 지식
1.2.1. 수정
난자와 정자의 융합을 '수정'이라 한다. 사람의 경우 충분히 성숙한 난자는 난소에서 나팔관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배란기에 정자가 유입되면 수정으로 이어진다. 난자는 운동성을 갖지 않은 대신 배아의 성장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 단백질을 난황의 형태로 갖고 있다. 수정란은 배를 발생시키는 동물극과 영양물질을 가진 식물극으로 나뉘는데, 동물극이란 수정란에서 두 개의 극 중 핵과 가까이 있으며 극체가 형성되는 극을 말한다. 가만히 두면 난황의 밀도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난황이 아래쪽으로 몰리고 핵과 세포질이 그 위로 몰려있는 모양이 나오게 된다. 이때 핵이 있는 쪽의 극을 동물극이라고 하고, 난황이 있는 쪽의 극을 식물극이라고 한다. 난세포가 움직일 때 밀도의 차에 의한 세포 내부 모양 차이로 동물극과 식물극이 나뉜다.
수정의 의의는 일반적으로 발생 개시의 자극과 생물이 존속하기 위해서 유전자의 적당한 재조합으로 환경에 알맞은 유전자구성을 하는 자손을 만드는 것에 있다고 생각된다. 좁은 의미의 수정으로 우선 다세포동물에 대해 살펴보면 두 배우자가 합쳐진 것을 수정란이라 하고, 양자의 유전적 영향으로 발생을 개시한다. 수정란에 대해 수정 전의 난을 미수정란이라고 한다. 따라서 수정이란 정자와 난자의 융합을 통해 수정란이 형성되는 과정이며, 이 수정란에서 발생이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수정은 생물이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수정이라는 생물학적 현상을 통해 생물은 다음 세대를 생산하고, 유전자 재조합이 이루어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개체가 생산된다. 난자는 배아 발달에 필요한 영양분을 갖고 있으며, 정자는 난자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수정란은 이러한 난자와 정자의 융합으로 형성되며, 이후 다양한 과정을 거쳐 완전한 개체로 발달하게 된다. 이처럼 수정은 생물 발생의 첫 단계로, 이를 통해 새로운 생명체가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1.2.2. 난할
난할은 수정란의 핵이 일련의 체세포 분열을 진행하는 현상이다. 첫 번째 난할은 수정란이 생긴 직후 바로 일어나며, 정자가 들어간 지점을 포함하는 경도 분열을 하여 회색신월환을 반등분 한다. 이로써 2세포기가 만들어진다. 두 번째 분열로 4세포기가 완성되는데, 이때도 경도 분할이 이루어지지만 첫 번째 분열과 90도의 각도로 일어난다. 세 번째 난할은 위도 분할이 일어나지만 약간 동물극에 치우쳐서 일어나며 8세포기가 된다. 이후 난할은 교대로 일어나면서 16세포기, 32세포기 등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난할이 계속되면서 동물극의 세포들은 식물극의 세포들보다 더 빨리 분열되어 더 작고 더 많은 수의 세포들이 동물극에 존재하게 된다. 다음날에도 난할은 계속되어 수천개의 세포덩어리로 이루어진 포배기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전 과정에서 배의 성장은 일어나지 않는다. 수정란 게놈의 전사와 해독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모체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과 mRNA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난할을 통해 수정란은 세포분열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동물극과 식물극의 기능적 차이로 인해 분열 속도와 할구의 크기 및 수에 차이가 나타난다.
1.2.3. 포배
포배는 난할 과정이 끝나고 할구의 수가 충분히 늘어나면 나타나는 단계이다. 할구가 단단한 공모양의 배아세포인 상실배를 형성하고, 이후 더욱 많은 할구가 생성되...
참고 자료
Scott F, Gilbert, Michael J.Barresi, 『발생생물학』, 전성학 외 옮김, 라이프사이언스, 201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ng1134&logNo=220029775322&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ng1134&logNo=7018909742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https://www.scienceall.com/%ED%8F%AC%EB%B0%B0blastula-2/
https://www.scienceall.com/%ED%8F%AC%EB%B0%B0blastula/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ng1134&logNo=22002968726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ng1134&logNo=220032460560&targetKeyword=&targetRecommendationCode=1
[네이버 지식백과] 발생 [development, 發生]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난할 [cleavage, 卵割]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네이버 지식백과] 포배 [blastula, blastlae, 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네이버 지식백과] 낭배 [gastrula, 囊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네이버 지식백과] 기관형성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천재학습백과] 포유류와 사람의 발생
조완규, 『발생생물학』, 아카데미서적, 2001, pp160, 186
강만식, 『현대동물학』, 교학연구사, 1992, pp148-155
한국생물과학협회, 『일반생물학실험』, 아카데미서적, 1993, pp275-289
Wolpert, 『Principles of development』, L. et al., 1998, pp26-31, 63-70, 75-77, 81-93 113-117
Gilbert, 『Developmental Biology 5th edition』, S.F, 1997, pp2-5, 147-149, 173-175, 196-201, 221-232, 256, 600-629
http://bcrc.bio.umass.edu/courses/fall2011/biol/biol523/content/mammalian-mesenchyme-cells-400x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29717&cid=42411&categoryId=42411
http://202.20.99.17/~jjkim/Lecture/Biology/Devl_Biol/Ch33_Development.htm
http://202.20.99.17/~jjkim/Lecture/Embryol/Dev_Anatomy/Dev_anatomy.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