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세동기의 개요
1.1. 제세동기의 정의 및 목적
제세동기는 치명적인 부정맥 상태인 심실세동 및 심실빈맥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심장 리듬을 회복시키는 응급 치료 장치이다. 제세동기의 목적은 심실세동 및 비정상적인 심박동을 정상 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데 있다. 강력한 전기 충격은 모든 심근 세포를 동시에 탈분극화시켜 완전한 불응기에 빠뜨린 뒤 가장 우세한 자동조율중추인 SA 노드가 회복되어 정상 리듬을 찾도록 하는 것이다. 제세동은 심장 활동의 비정상적인 양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혈액 순환을 회복시키고 주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2. 제세동기의 적응증
제세동기는 심실세동, 심실빈맥과 같은 치명적인 심장 부정맥 환자에게 사용된다. 심실세동은 심장의 전기 전달 체계의 변화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불규칙하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으로, 이 경우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게 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또한 무맥성 심실빈맥 역시 심실세동으로 악화될 수 있어 제세동기를 통한 신속한 전기 충격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심방세동, 심방조동 등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 환자에서도 제세동기를 이용한 동기화 심율동 전환술이 권장된다. 이는 전기 충격을 심장의 정상 리듬 주기에 맞추어 가하여 비정상적인 전기 회로를 차단하고 규칙적인 자극 전도를 회복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세동기는 무반응, 무호흡, 무맥박의 상태인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환자, 그리고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심방 부정맥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8세 이하의 소아나 체중 25~30kg 이하의 환자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제세동기 사용의 핵심은 시간이다. 제세동이 지연될수록 성공률은 매분 7~10%씩 감소하므로, 신속한 제세동 시행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세동 에너지 역치를 넘어서되 지나치게 높은 에너지로 시행하면 오히려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에너지 설정이 필요하다.
2. 제세동기의 작동 원리
2.1. 심실세동 및 심실빈맥의 원인 및 특징
심실세동은 심근에서 국소적으로 시작된 활동전위가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개별 심근 세포들이 무질서하고 빠르게 수축하게 되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상실된다. 심실세동은 지속적인 회귀성 활동전위에 의해 유지되며, 초기에는 빠른 활성화 상태를 보이다가 심근이 점차 허혈 상태에 빠짐에 따라 느려지는 양상을 보인다. 심전도상에서는 무질서하고 불규칙한 파형이 관찰되며, 편향 박동수는 150회/분에서 500회/분 사이의 범위를 가진다. 초기에는 "거친" 형태를 보이다가 후기에는 "미세한" 형태로 퇴화하는 경향이 있다.
심실빈맥은 심실의 자동능 항진이나 회귀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급성 심근경색, 심근병증, 심근염 등의 직접적인 심근 손상이나 항부정맥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무맥성 심실빈맥은 심실세동과 마찬가지로 조기 제세동이 주된 치료법이며, 심전도상 120회/분 이상의 규칙적인 넓은 QRS군이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