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모더니즘은 18세기 계몽주의 때부터 시작된 이념으로, 기본적으로 인간의 합리성 및 이성으로의 이행을 지향한다. 예술 분야에서의 모더니즘은 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하여 발생된 전위 예술적인 경향을 지칭하며, 그 주요 특징은 진보주의, 절대주의, 형식주의, 아방가르드와 예술지상주의, 추상주의, 엘리트주의로 정리할 수 있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과 반대의 입장을 취하며, 1960년대 중반부터 등장한 이념으로, 20세기 후반을 지배한 핵심적이며 중심적인 용어라고 말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기반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절대성과 진리성, 합리성 등을 비판하며, 해체와 불확정성, 상대성, 다원성, 탈정당성을 지향한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을 상세히 알아보고,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의 규범적 정의와 기능적 정의를 설명하고, 우리나라 교육 현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의 정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모더니즘과의 비교
2.1.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개념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부터 대두되었으며, 모더니즘의 절대성과 진리성, 합리성 등을 비판하고, 해체와 불확정성, 상대성, 다원성, 탈정당성을 지향한다. '포스트(POST)'라는 접두사는 '~이후의' 혹은 '탈'이라는 양면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포스트모더니즘 또한 이러한 양상을 내포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은 변화하는 세계관과 근대 건축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20세기에 들어 현대 물리학은 새로운 자연관을 제시했고, 이에 따른 세계관이 점차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수용되면서, 고전적 과학 방법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새로운 문화 운동으로 전개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