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고관절 반치환술 케이스
1.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상황
이 환자는 등록번호 016****의 성명 이**로, 81세 남성 환자이다. 진료과는 OS이며, 진단명은 Fracture of neck of femur이다. 2021년 10월 27일에 Replacement hemiarthroplasty 수술을 받았다. 환자의 의식수준은 alert 상태이다. 수술 동의서 확인, 수술부위 및 피부 준비 확인, 환의 착용 확인, 수술 전 투약 확인, 금식 여부 확인 등 수술 전 준비사항을 모두 확인하였다.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 및 감염 여부도 확인하였다.
수술명인 Replacement hemiarthroplasty는 대퇴골 경부 골절 또는 무혈성 괴사 시 대퇴골두를 제거하고 인공대퇴골두를 삽입하는 수술이다. 인공 대퇴골두를 감싸는 라이너가 있어 두 곳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양극성 치환술이다. 주로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퇴행성 관절염 등 관절연골이 마모되거나 파괴되어 관절 질환이 있는 경우에 적응증이 된다.
수술 과정은 전신마취하에 lateral decubitus position으로 환자를 위치시킨 후, 적절한 수술 부위 소독과 draping을 시행하였다. 이후 대퇴경부 절골술, 대퇴골두 탈구, 비구 기저부 골극 제거, 대퇴골 reaming 및 대퇴 삽입물 삽입, 관절 재건 및 안정성 확인, 관절 세척과 지혈, 배액관 삽입, 층별 봉합 등의 과정을 거쳐 수술을 완료하였다.
1.2. 수술명에 대한 학습
고관절 반치환술은 대퇴골 경부 골절 또는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되는 수술이다. 대퇴골두를 제거하고 인공 대퇴골두를 삽입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때 인공 대퇴골두를 감싸는 라이너가 있어 두 개 사이의 움직임과 라이너와 골반 사이의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양극성(bipolar) 치환술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골시멘트를 이용하여 고정했지만 최근에는 특수한 디자인의 press-fitting mechanism으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관절 반치환술은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퇴행성 관절염, 선천성 고관절 탈구, 감염성 관절염, 무혈성 괴사증 등 관절 연골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고관절 기능이 떨어진 다양한 질환에서 적응증이 된다. 수술 과정은 환자를 측와위 자세로 눕힌 후 lateral approach로 고관절에 접근하여 대퇴골두를 제거하고 인공 대퇸골두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수술 중 간호활동으로는 무균술 준수, 수술 과정에 따른 기구 및 물품 공급, 출혈 및 감염 관리 등이 포함된다.
1.3. 수술 중 간호활동 기록
수술에 앞서 소독간호사는 자신이 맡은 수술에 대하여 명확히 파악하며, 외과적 손씻기 후 멸균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또한 수술에 필요한 기구와 물품을 준비하고 점검하며, 수술자의 멸균 가운과 장갑 착용을 도와주고 수술 상을 편리한 곳에 위치시킨다.
수술 중에는 소독간호사가 무균술을 철저히 지키며, 수술 과정에 따라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한다. 사용한 기구는 즉시 깨끗이 닦아 관리하며, 수술과정을 기록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중 간호를 계획하고 조정하며, 기록한다. 또한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고 필요한 물품을 공급한다.
수술이 끝나면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함께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분류하여 정리한다. 이후 회복실로 이송하여 회복실 간호사에게 인계한다.
회복실에서는 수술 후 간호사와 마취과 간호사가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활력징후와 출혈, 통증 등을 면밀히 관찰한다. 또한 오심, 구토, 부작용 등에 신속히 대응하며, 회복 상태가 양호할 경우 병동으로 전실시킨다. 이때 회복실 간호사는 병동 간호사에게 상세한 정보를 인계한다.
1.4. 마취 회복상태 관찰 및 기록
마취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