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장 구조 및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첨
심첨은 왼쪽 폐 뒤로 나와 있는 심장의 뾰족한 끝부분이다. 심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심첨은 좌심실이 발달되어 있는 부위이다. 좌심실은 혈액을 대동맥으로 펌프질하는 역할을 하므로, 심첨 부위에 위치한 좌심실은 심장의 가장 강력한 펌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심첨은 심장의 앞쪽에서 보면 심장 윤곽의 가장 뾰족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심첨의 해부학적 특징은 심장의 펌프 기능 수행에 적합한 구조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격막
심장의 격막은 심장의 두 개의 근육성 펌프를 나누는 막이다. 격막은 심방과 심실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격막은 심장의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다. 심장의 좌우를 구분하는 격막은 심장의 전체적인 구조와 혈류 경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격막의 파열이나 결손은 심각한 심장 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격막의 온전함은 심장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1.1.3. 심방
심방은 심장으로 오는 피를 받는 곳으로, 비교적 얇지만 탄력적인 근육 부분이다. 심장에는 좌심방과 우심방의 두 개의 심방이 있다. 심방은 심실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심장을 통과하는 혈액의 대부분이 심방에 먼저 저장되었다가 심실 수축 시에 유입되는 구조이다. 우심방은 정맥을 통해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받고, 좌심방은 폐순환을 거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받는다. 이후 이 혈액들은 심실로 전달되어 순환계로 내보내어진다.""
1.1.4. 심실
심실은 심장의 두 개의 나란한 근육성 펌프 중 하나이다. 심실은 수축을 통해 심장 밖으로 혈액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심실은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으며,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뉜다.
좌심실은 신체 전반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펌프질하는 역할을 한다. 좌심실의 벽은 다른 심실에 비해 두꺼운데, 이는 신체 전체로 보내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좌심실은 이첨판(승모판)을 통해 좌심방에서 혈액을 받아들이고, 대동맥판을 통해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낸다.
우심실은 폐동맥을 통해 폐로 혈액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우심실의 벽은 좌심실에 비해 얇은데, 폐로 보내는 혈액이 낮은 압력에서도 순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심실은 삼첨판을 통해 우심방에서 혈액을 받아들이고, 폐동맥판을 통해 폐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낸다.
심실은 심장 박동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장 주기의 심실 수축기에 심실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밖으로 내보내게 된다. 이때 방실판이 닫혀 심실에서 심방으로의 역류를 막아준다. 이러한 심실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심장은 펌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1.5. 위심낭
위심낭은 심장을 감싸고 있는 윤활 액체를 지닌 막성 주머니이다. 위심낭은 심장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심장의 근육 수축과 이완 과정에서 마찰을 줄여준다. 또한 위심낭은 심장 주위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심장의 효율적인 펌프 기능을 돕는다. 즉, 위심낭은 심장이 최적의 상태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위심낭은 심장 보호와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1.1.6. 방실판
방실판은 심장의 양쪽에 있는 심방과 심실을 분리하여 심실에서 심방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의 오른쪽에 위치한 삼첨판은 세 개의 덮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장의 왼쪽에 위치한 이첨판(또는 승모판)은 두 개의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방실판들은 심장 수축 시에 열리고 이완 시에 닫혀 심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방실판의 덮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심실에서 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판막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방실판은 심장의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1.1.7. 건삭
건삭은 유두근에 연결된 것으로, 판일탈증후군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판일탈증후군이란 방실판의 덮개들이 심실이 수축할 때 심방 쪽으로 접혀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건삭은 심장의 방실판을 심실 벽에 고정시켜 판일탈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심방에서 심실로 향하는 혈액의 역류를 막고, 심장의 펌프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2. 심혈관 경로
1.2.1. 폐순환
폐순환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폐로 가서 산소를 섭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과정을 말한다. 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폐동맥을 거쳐 폐로 보내지고 폐에서 원래 산소가 부족했던 혈액이 산소로 풍부해진다. 그 후 폐정맥을 통해 다시 좌심방으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폐를 거치면서 혈액 내 산소농도가 높아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폐순환은 혈액을 체내 조직으로 보내기 전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조직이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고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1.2.2. 체순환
체순환은 산소화된 혈액이 심장으로부터 신체의 나머지 부분으로 전달되는 순환이다. 폐순환에서 산소화된 혈액은 폐정맥을 통해 심장의 왼쪽(좌심방)으로 운반된다. 그 후 심장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좌심방의 혈액은 좌심실로 이동하게 된다.
좌심실의 수축은 혈액을 대동맥을 통해 동맥으로 보내게 된다. 혈액은 동맥과 소동맥을 거쳐 모세혈관으로 흐르게 된다. 모세혈관에서 산소와 영양분은 확산에 의해 조직 세포로 전달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혈액으로 흡수된다.
모세혈관에서 나온 혈액은 정맥계를 통해 흘러,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돌아온다. 우심방의 수축에 의해 혈액은 우심실로 유입되며, 우심실의 수축으로 혈액은 폐동맥을 통해 다시 폐로 보내지게 된다. 이렇게 순환이 완성된다.
체순환은 심장에서 시작하여 전신 장기와 조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폐로 운반하는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