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소개
1.1. NCS의 개념 및 구성요소
NCS의 개념 및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NCS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약어이며, 한 직업에서 요구되는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개별 능력을 의미한다. NCS는 능력단위, 능력단위 요소, 수행준거,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으로 구성된다. 능력단위는 NCS 분류의 하위단계로서 기본 구성요소이며, 능력단위 요소는 지식·기술·태도와 수행준거로 구분된다. 수행준거는 개인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 기준을 제시한다. 이어서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이 NCS의 구성요소이다. NCS는 특정 직업에서 요구되는 직무수행능력을 표준화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능력중심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1.2. NCS 능력단위 및 직업기초능력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는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직무를 수행하는 개별 직무 능력을 의미한다. NCS 능력단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의 하위단위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기본 구성요소이며, 능력단위요소에는 지식·기술·태도와 수행준거로 구분된다. 수행준거는 성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개인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의 기준을 제시한다.
NCS 직업기초능력은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조직이해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수리능력, 직업윤리의 10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문제해결능력은 창조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능력이며, 자기개발능력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질을 관리하고 개발하는 능력이다. 조직이해능력은 국제적 추세와 조직체제, 경영, 업무를 이해하는 능력이고, 자원관리능력은 시간, 예산, 물적, 인적 자원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대인관계능력은 팀워크, 리더십, 갈등관리, 협상, 고객서비스 능력을 포함하며, 의사소통능력은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기초외국어 능력을 의미한다. 정보능력은 정보를 수집, 분석, 조직, 관리, 활용하는 능력이고, 기술능력은 기술에 대한 이해, 선택, 적용 능력이다. 수리능력은 사칙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능력이며, 직업윤리는 근로윤리와 공동체 윤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은 불필요한 스펙이 아닌 직무에 맞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므로 스펙 중심에서 능력 중심 채용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1]
공공기관과 공기업에서는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특히 중요하게 여긴다. 의사소통능력의 경우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기초외국어 능력이 요구되며, 수리능력에서는 기초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능력이 필요하다. 문제해결능력은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와 문제의 특성 파악, 대안제시, 평가와 피드백 능력을 포함한다. [1,3]
외국어 의사소통능력은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능력을 포함하며, 비즈니스 현장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고객 서비스, 수출입 업무, 해외 홍보, 고객 미팅 등에서 기초외국어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프리젠테이션 시 효과적인 언어 구사력과 표현력도 중요하다. [3]
능력 중심 채용에서 필기평가와 면접평가의 핵심은 해당 직무에 필요한 실제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필기평가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초능력을, 면접평가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초소양을 평가한다. 따라서 경험과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1]
1.3. 능력중심 채용의 필요성
스펙중심의 채용에서 능력중심 채용으로 전환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NCS 기반 능력중심채용은 불필요한 스펙이 아닌 해당 직무에 맞는 스펙(On-Spec)을 갖춘 인재를 NCS 기반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선발하는 채용 방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