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튜브, 온라인 매체와 참여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튜브, 온라인 매체와 참여문화
2.1. 유튜브의 사회적 기능과 장단점
2.2. 팬덤정치의 형성과 발전
2.3. 뉴미디어와 팬덤정치의 관계
3. 사회복지기관의 홍보전략과 실제
3.1. 사회복지기관의 홍보 전략
3.2. 부산 서구장애인복지관의 홍보사례
3.3. 사례에 대한 의견 제안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바라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람들이 대부분이 온라인 영상을 감상하고 있는 것이다. 전국에 인터넷 망이 갖춰진 만큼 언제 어디서든 온라인 매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그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온라인 매체들도 다양하게 생겨났다. 과거에는 텔레비전이나 지면 매체 등 일부 매체에 한정 되었지만 온라인 매체의 발전으로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지며 사람들의 온라인 매체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온라인 매체 중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유튜브이다. 과거부터 존재해왔던 유튜브는 온라인 기술의 발전하며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1인 미디어 매체로써 과거보다 훨씬 더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받을 수 있고, 콘텐츠를 다루는 송신자와 실시간 소통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나날이 매체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한 변화로 사람들의 정보력이 발달하게 되었고,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요소들이 다양해졌지만 매체의 등장은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양날의 검으로써 미치는 영향력만큼 긍정과 부정의 영향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튜브의 사회적 기능이 보이는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보며 주관적 의견을 더해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2. 유튜브, 온라인 매체와 참여문화
2.1. 유튜브의 사회적 기능과 장단점
유튜브는 사회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안에는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고 있다. 먼저 환경감시기능의 측면에서 유튜브는 언론매체와 같이 사회의 다양한 소식들을 대중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전달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관점에서 정보를 공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송신자의 주관적 해석이 가미되어 사실이 왜곡될 수 있고, 가짜뉴스 확산의 위험성도 내재하고 있다.
상관조정기능의 측면에서 유튜브는 사회 문제에 대한 다각도의 해석을 제공하며 대중의 의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하지만 잘못된 의제 설정이나 부적절한 프레임으로 인해 선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회유산의 전수기능 측면에서 유튜브는 과거의 역사와 상식, 사회의 중요한 가치와 문제들을 지속적으로 공유하여 교육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지식의 지나친 규격화, 편향된 내용 전달 등의 단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오락기능 측면에서 유튜브는 기존 미디어보다 훨씬 더 다양한 오락적 요소를 제공하며, 대중의 흥미를 끌고 있다. 그러나 윤리성이 결여된 콘텐츠 양산과 중독 현상 발생 등의 부작용도 우려된다.
종합해보면 유튜브는 빠른 정보 전달, 다양한 견해 제공, 교육적 기능 등의 순기능을 발휘하고 있지만, 정보 왜곡, 선동 가능성, 지식 편향, 윤리 문제 등의 역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유튜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만큼 긍정과 부정의 영향이 공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팬덤정치의 형성과 발전
팬덤정치는 특정 정치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팬덤이 정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현상이다. 한국에서는 문재인, 박근혜, 이재명 등의 정치인을 중심으로 강력한 정치 ...
참고 자료
미디어와 사회 강의 및 교안참고
윤성이. 2018. 『한국정치 - 민주주의·시민사회·뉴미디어』. 법문사.
진영재. 2021. 『정당정치의 진화』.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홍종윤. 2014. 『팬덤 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성태, 김여진, 최홍규, 김형지. 2011.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 채널의 확장과 정치참여 변화 연구: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주목하며”. 『평화연구』, 제19권 제1호, 5-38.
김용호. 2004. “네티즌 포퓰리즘이냐, 새로운 형태의 정치참여인가?: ‘노사모’사례연구”. 『정보화정책 자료집, 3』.
김정호. 2020. “팬덤공중의 성격에 대한 시론: 검찰개혁 촛불시위에 나타난 문재인 팬덤을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통권 제36호, 53-88.
도묘연. 2022.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 미디어 이용, 포퓰리즘 성향의 영향구조”. 『한국정당학보』, 제21권 제1호, 81-117.
송효진, 고경민. 2013. “SNS 정보서비스의 질, 정치 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 촉진”. 『한국정당학회보』, 제12권 제1호, 175-216.
오현철. 2021. “문재인 정치팬덤의 복합적 성격”. 『시민사회와 NGO』, 제19권 제1호, 3-38.
이재우, 2023, “진영·팬덤정치 걸러낼 '냉철한' 투표해야”,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03_0002687002&cID=10301&pID=10300
김민형, 2023, 비명계 '원칙과 상식' 출범…“팬덤정치 극복”, MBC뉴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today/article/6544356_36207.html
김명성 저, 사회복지행정론, 서울디지털평생교육원(2022)
오세영 저, 사회복지행정론, 신정(2018)
원석조 저, 사회복지행정론, 양서원(2018)
서구장애인복지관 복지관소개/ 사업안내/ 알림마당/ 후원,자원봉사/ 주간보호센터 ,http://www.seogur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