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세종한국어 교재 선정 배경
현재 한국어 교재들이 대상별, 목적별로 다양하게 출간되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자체적으로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재를 선정하는 데에는 많은 고민이 있었다.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최종적으로 '세종한국어'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국립국어원에서 기획 및 출간하여 가장 공신력이 있는 교재이며, 세종학당 등을 통해 해외에 한국어 보급을 하고 한국어 교원자격 심사를 하는 곳에서 나온 교재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신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종한국어 교재 시리즈 중에서도 몇 차례 개정되고 중보판까지 나왔다가 가장 최근인 2022년에 전면 개정되어 출간된 '세종한국어 2A'를 선택하였다. 이는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로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1.2. 문형 선정 기준과 목적
문형 선정 기준과 목적이다. 한국어 교재들이 다양하게 나와 있어 교재를 선정하는데 고민이 많았다. 여러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공신력 있는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세종한국어 2A'를 선정하였다. 초급 과정을 배운 학습자들이 과거와 현재를 추측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대화를 자주 해야 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문형이 '-는/(으)ㄴ/(으)ㄹ 것 같다'라고 판단하여 이 문형을 선택하였다. 이 문형은 말하는 사람의 추측과 예측을 나타내는데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2. 세종한국어 2A의 문형 정보
2.1. 교재 개요 및 특징
세종한국어 2A의 교재 개요 및 특징이다. 세종한국어 2는 세종학당에서 공부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집필 방향으로는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교류할 수 있는 언어문화적 능력 증진에 두었다. 일상적인 맥락과 기본적인 공공장소에서 자주 접하는 화제의 의사소통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의사소통 상황은 세종학당이 개설된 다양한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말하기, 듣기,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