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는 차별에 민감하다. 그래서 차별을 법으로도 금하고 있다. 차별금지 대상에는 성별도 포함되는데, 다양성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은 평등을 지향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여전히 성별 이분법을 기반으로 한 성별 혐오를 경험하고 있다. 무의식적으로 내뱉는 말속에 성별 고정관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한 무의식은 '남자답게'와 '여자답게'를 강조한다. 성별에 따라서 정해진 성 역할대로 살아가도록 기대하고 또 요구하는 사고방식을 가리켜 '성별 고정관념'이라고 한다. 이러한 인간의 성별 고정관념은 영유아기부터 생성되기 시작한다. 즉, 영유아기는 성 역할을 습득하고 사회적 규범을 내면화하는 등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기인 것이다. 그런 만큼 부모는 아이가 성에 대해 올바른 개념을 갖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2. 성 고정관념의 개념
성 고정관념은 남녀가 성별에 따라 특정한 특성이 있다고 믿고, 개인에게 성별에 따른 그러한 특성을 기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회는 전통적인 성별 역할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남성은 강인하고 공격적이며 독립적이어야 하고, 여성은 온순하고 순응적이며 가정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 고정관념은 개인의 잠재력과 다양성을 억제하고 획일적인 행동을 유도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3. 영유아에게 성 고정관념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단어 및 언어
3.1. 성별에 따른 색상 구분
우리 사회에서는 제품의 색상에 따라 '남아용'과 '여아용'을 구분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예를 들어 현재 국내 문구업체인 (주)동아에서는 파란색 케이스에 18색 크레용을 '남아용 크레용'이라는 이름으로, 분홍색 케이스에 같은 제품을 '여아용 크레용'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렇듯 남녀공용 제품을 색깔에 따라 구분하면 이런 제품을 사용하는 영·유아들은 '파란색은 남자의 색'이나 '핑크 여자의 색' 같은 성 고정관념을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영유아가 일상생활에서 화려한 색상을 사용하기 어렵거나 심리적인 문제를 겪는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3.2. 남녀 아동의 장난감 선호 차이
남녀 아동의 장난감 선호 차이는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반적으로 남자아이 장난감을 고를 때는 보통 로봇, 자동차 모델, 공룡 모델을, 여자아이 장난감을 고를 때는 인형, 살림세트, 마술봉 등을 선택한다. 이는 "남자는 로봇을 좋아하고 여자는 인형을 좋아한다"는 성 고정관념을 바탕으로 한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성 고정관념에 따라 어른들은 인형을 좋아하는 남자아이에게 로봇을 선물하거나, 로봇을 좋아하는 여자아이에게 인형을 선물하며 "소년들이 이런 걸 좋아하지?", "소녀들이 이런 걸 좋아한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주변 어른들의 영향을 받는 영유아들은 "나는 소년이니 로봇을 좋아해야 해" 또는 "나는 소녀니 인형을 좋아해야 해"와 같은 성 고정관념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아이들의 실제적인 특성이 억제되고 획일적인 행동이 유도될 수 있다.
3.3. 성별에 따른 감정 표현의 차이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남자는 울면 안 돼"와 같은 성 고정관념이 자리 잡고 있다"".
어린 아들이 눈물을 보이면 부모들이 "남자는 울지 않는다"며 아이의 울음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