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환자분류체계의 개념과 목적
1.1. 환자분류체계의 개념
환자분류체계의 개념은 환자의 간호요구와 이에 따라 필요한 간호시간이 비슷한 환자들을 범주화하여 환자분류군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환자의 스스로 자가간호를 할 수 있는 정도와 간호사에게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경환자(minimal care), 중등환자(moderate care), 중환자(intensive care), 위독환자(maximal care) 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류군에 따라 간호 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이를 근거로 간호인력 산정이 가능하다. 초기에는 필요한 간호인력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생산성, 간호수가, 예산 수립, 질 평가 등 다양한 간호 관리 활동에 이용되고 있다.""
1.2. 환자분류체계의 목적
환자분류체계의 목적은 환자들의 다양한 간호요구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간호인력 산정과 적정 인원 배치, 그리고 병원 표준화 실현, 중요한 정보의 원천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각 환자의 간호요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이를 근거로 가장 효과적인 할당 및 효율적인 간호사의 근무시간을 배치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환자분류체계를 근거로 간호수가의 차등화를 위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환자분류체계의 접근방법
2.1. 원형평가체계
2.1.1. 원형평가체계의 특징
원형평가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형평가체계는 주관적인 평가 방법으로, 전형적인 환자의 특성을 문장형식으로 기술하여 기준으로 삼아 환자를 분류한다. 즉, 열거된 간호행위의 유사성에 따라 환자를 3~4개의 군으로 나누어 순위척도로 구분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형적인 환자간호를 위해 필요한 평균 간호시간을 결정해야 한다.
둘째, 원형평가체계는 이미 제시된 원형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므로 사용하기 쉽고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환자분류에 있어 객관성이 부족하고 신뢰성에도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2.1.2. 원형평가체계의 장단점
원형평가체계의 장점은 활용하기 쉽고 시간 소요가 적다는 것이다. 하지만 원형평가체계의 단점은 정확성과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원형평가체계는 전형적인 환자의 특성을 문장으로 기술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