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상담이 필요한 대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특성과 필요성
2.1.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정의
2.2.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개입대상 및 방법
2.3.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필요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상담과 가족치료는 가족관계의 문제해결을 돕기 위한 행위로, 부부관계의 갈등 및 문제를 다루는 부부상담이 시초라고 볼 수 있다. 미국에서 가족치료운동이 시작한 배경에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가족이 흩어지고 가족 내에서의 역할과 관계가 변화하면서 부부갈등, 이혼, 청소년 비행, 노인문제 등이 증가하고 가족기능이 약화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가족 기능과 역기능이 연구되었고, 가족의 결속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전개되면서 가족치료운동이 발달하게 되었다. 또한 개인중심 심리치료 영역에서도 가족의 영향력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만이 아닌 가족을 함께 참여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2.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특성과 필요성
2.1.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정의
가족상담은 가족원 개인의 부적응 및 대인관계의 문제 그리고 가족원 사이의 갈등과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족 체계를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어 직접 개입하는 것이다. 가족원 사이의 관계구조 및 상호작용을 변화시켜 대인관계 기술 및 적응능력을 향상시켜서 개인과 가족이 건강하며 기능적인 생활을 하도록 전문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이다. 상담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가 도움을 요구하는 내담자와 지속적으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긍정적 변화와 적응 그리고 성장을 돕는 과정이다. 상담자는 내담자를 대상으로 적응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조력자의 역할과 환경을 조정하는 조정자 역할을 담당한다. 가족치료는 전문훈련을 받은 치료자가 병리증상 또는 정신장애 문...
참고 자료
최규련,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2012
김지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양성원, 2022
이기영. 가족복지와 상담. 서울: 화학사, 2010. http://www.riss.kr/link?id=M12177906
김영덕. "가족치료를 위한 목회상담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6. 서울 http://www.riss.kr/link?id=T12566001
김지영/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양성원/2022
곽라은 외 4/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양성원/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