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김혜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가족생활 속 의사소통의 중요성
1.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개요
2. 본론
2.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2.1.1. 회유형
2.1.2. 비난형
2.1.3. 초 이성형
2.1.4. 산만형
2.1.5. 일치형
2.2. 나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2.2.1. 회유형 의사소통 활용 경험
2.2.2. 회유형의 문제점 및 극복 방안
3. 결론
3.1.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 문제 해결
3.2.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가족생활 속 의사소통의 중요성
가족생활 속 의사소통의 중요성이다. 가족생활에서도 의사소통은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가족 구성원은 그 가족만의 특별한 의사소통을 위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가족 체계를 유지 및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은 가족 환경에 영향을 주고받음에 있어서 가족 체계 유지에 순환적 인과성을 지닌 구성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바람직하고 풍요로운 의사소통은 가정을 건강하게 기능하게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1.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개요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개요는 다음과 같다.
심리분석에 근거를 두며 가족치료에 크게 기여한 사티어의 이론에서는 사람마다 가지고 있다고 여기는 고유한 의사소통의 유형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사티어는 서로의 생각이나 감정, 태도를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분명하고 솔직하게 전달하는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기능적 의사소통과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으로 구분한다.
회유형은 자신의 내적 감정 및 생각을 무시하고 타인의 비위에 맞추는 의사소통으로, 상대방에게 동의하는 말을 하고 그들의 뜻을 따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비난형은 자신이 틀리거나 약함을 인정하지 않는 신념으로,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 초 이성형은 자신과 타인을 과소평가하며 지나치게 합리성을 중요시하고 감정적 개입을 회피한다. 산만형은 생각, 말, 행동 등 모든 차원에서 산만한 특성을 보이며 초점 맞추기와 상황 대처에 어려움을 겪는다. 일치형은 자신의 개성과 독특성을 인정하지만 지나치게 방어적이지 않으며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고 신뢰하며 수용한다.
2. 본론
2.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2.1.1. 회유형
회유형 의사소통이란 자신의 내적 감정 및 생각을 무시하고 타인의 비위에 맞추는 의사소통이다. 상대방에게 동의하는 말을 하고, 그들의 뜻을 따르는 것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결국 자신의 힘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그의 상황은 존중하지만, 자신의 내면은 존중하지 못한다. 겉으로는 회유하면서 내면으로는 비난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사람이나 상황이 표현하고 요구하는 것을 자신도 좋아하는 것처럼 행동하며, 때로는 자신의 삶을 희생하기도 한다. 이...
참고 자료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건강한 가족을 위해 떠나는 여행 / 송정애 / 양서원 / 2010
가족치료이론과 기법 / 김혜숙 / 학지사 / 2003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유옥 / 동문사 / 2012
네이버 지식백과
가족상담및가족치료 교안
이희세 외(2017), 가족치료 및 상담, 공동체
최규련(2012),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김혜숙 외, 가족상담 및 치료, 신정, 2012, pp.38~43.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부부, 부모자녀, 고부체계간의 가족갈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5, pp.177~188.
이영실 외, '가족치료', 양서원 2010.
김유숙,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3판, 2014.
김혜숙,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