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소개
다큐멘터리 영화 '엔드게임-생이 끝나갈 때'는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프란시스코(UCSF) 메디컬센터 내에 있는 완화 의료팀과 젠 호스피스 프로젝트에 관한 영화이다". 이 영화는 다양한 질환으로 인해 임종을 앞둔 환자들과 그들의 보호자들이 호스피스에 대해 가진 솔직한 생각, 편견 등을 보여주며 완화 의료팀에서 일하고 있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임상목회자, 간병인 등의 모습도 보여준다". 또한 임종을 앞둔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겪는 죽음의 과정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2. 영화 줄거리
2.1. 영화의 주된 배경
'영화의 주된 배경'은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프란시스코(UCSF) 메디컬센터와 젠 호스피스 프로젝트 하우스이다.
UCSF 메디컬센터의 완화 의료팀과 젠 호스피스 프로젝트에서 일하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임상목회자, 간병인 등이 등장하며, 임종을 앞둔 환자들과 그들의 보호자들이 호스피스에 대해 가진 생각과 편견 등을 보여준다.
또한 UCSF 메디컬센터에 입원해있던 말기암 환자 미트라와 자궁암 환자 팻의 모습, 그리고 젠 호스피스 프로젝트에 참여한 신장질환 환자 브루스와 자궁경부암 환자 팻의 모습을 통해 완화 의료팀이 임종을 앞둔 환자들을 어떻게 돌보는지를 보여준다.
2.2. 등장인물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박수명은 40대 가장으로 갑작스러운 암 진단을 받고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다. 그는 암 투병 과정에서 자신의 가족들에 대한 걱정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토로한다. 그러나 자신과 똑같이 암 진단을 받은 부인에 대한 사랑과 염려심이 깊었기에, 병원에서 마지막까지 항암치료를 받으며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보려 노력한다.
김정자는 두 아들의 엄마로, 자신의 암 투병보다는 남편 박수명에 대한 걱정이 더욱 크다. 그녀는 자신도 언젠가는 남편과 같은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며 안타까워한다. 남편의 임종을 지켜보며 함께 가고 싶다는 소망을 표현하기도 한다.
박진우 할아버지는 수학선생님으로, 암 투병 중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다. 젊은 나이에 어머니를 여의었던 경험 때문에, 자신의 죽음에 대해 어린 손자가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을 걱정한다.
신창열은 쪽방촌 거주자로, 가족이 없는 외톨이 노인이다. 그는 말기 암 진단을 받고 혼자서 죽음을 준비한다. 하지만 호스피스 팀의 관심과 지원 속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게 된다.
3. 호스피스 간호의 특성
3.1. 말기 환자 간호
3.1.1. 통증 관리
말기 환자의 통증 관리는 호스피스 간호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진통제 투여와 더불어 마사지, 온열요법 등의 전환요법을 병행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말기 환자의 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시간 마다 대상자의 통증을 PQRST 척도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PQRST 척도는 Pain(통증의 발생 시점), Quality(통증의 성상), Region(통증 부위), Severity(통증의 정도), Time(통증의 지속시간)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말기 환자의 경우 마약성 진통제가 자주 처방되며, 이를 시간 약물로 규칙적으로 투여한다. 또한 대상자의 통증이 심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