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송대 일본명작기행 방랑기 문학기행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방송대 일본명작기행 방랑기 문학기행문
1.1. 과제 개요와 일정표
1.2. 작가 하야시 후미코와 작품 방랑기
1.3. 오노미치 문학 기행
1.3.1. 작가 가족의 오노미치 정착과 후미코의 성장
1.3.2. 오노미치 주요 방문지와 체험
1.3.3. 후미코 문학의 오노미치 여정
1.4. 오노미치 문학 기행의 의미와 시사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방송대 일본명작기행 방랑기 문학기행문
1.1. 과제 개요와 일정표
이 문학기행 과제는 일본의 대표적인 작가 하야시 후미코의 작품 방랑기를 읽고 작가의 고향 오노미치를 중심으로 문학기행을 계획하는 것이다. 여행 일정은 2박 3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째 날 오노미치 도착 후 작가의 기념관과 살았던 셋집을 방문하고, 둘째 날에는 작가의 첫사랑 고향인 인노시마를 방문한다. 마지막 날에는 작가의 모교와 문학의 길을 탐방하며 오노미치 문학 기행을 마무리한다. 이를 통해 작가의 작품 세계와 삶의 여정을 이해하고, 오노미치라는 작가의 문학적 공간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1.2. 작가 하야시 후미코와 작품 방랑기
하야시 후미코는 1920년대에 활동한 일본의 대표적인 여류 작가이다. 그녀의 대표작인 「방랑기(放浪記)」는 1922년에서 1926년까지 타지에서 하층민으로서 살아가는 자전적인 삶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소설이다.
당시 흔치 않던 여성 작가였던 후미코는 문학가 이전에 시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실질적인 고향이 없었던 후미코는 방랑의 삶 속에서도 마음의 고향인 문학을 통해 자신을 버텨나갈 수 있었다. 「방랑기」는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 솔직한 심정과 상황을 생생하게 담고 있어 독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간다.
특히 후미코의 확고한 사랑 철학이 인상적이었다. 경제적 도움을 주는 남성들에게도 본인의 사랑관을 굽히지 않고 고수했던 그녀의 모습은 당시로서는 매우 진보적이었다. 또한 작가는 자신의 고향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해 오노미치라는 '제2의 고향'을 떠올리며 버텨나갔다.
후미코 가족은 1916년부터 1922년까지 6년간 오노미치에 정착했는데, 이 시절은 작가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타지에서의 어려운 삶 속에서도 오노미치의 아름다운 풍경과 기억은 후미코를 지탱해주는 버팀목이 되었다. 5년 만에 고향 오노미치를 다시 찾아갔을 때의 감동적인 장면은 작가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잘 보여준다.
후미코는 많은 이들에게 '숙명적인 방랑자'로 불리곤 했다. 어릴 때부터 부모의 이혼과 새아버지의 집 없는 생활로 인해 큐슈 전역을 떠돌아다녔던 후미코는 고향에 대한 깊은 갈망을 품고 있었다. 그녀가 작품 「방랑기」의 첫 구절에서 불렀던 "깊어...
참고 자료
하야시 후미코, 이애숙 옮기, 방랑기, 창비, 2015.
이애숙 엄인경 오미정 외 공저, 일본명작기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第2回 林 芙美子ゆかりの地 広島・尾道 | 文学散歩 https://jpn.nec.com/nua/sanpo/02/
知の回廊 第59回『林芙美子の『恋の故郷』尾道を歩く』 (www.youtube.com/watch?v=Vdt_c3HTDaQ)
조문영(2024), 『연루됨: 인류학자의 세상 읽기』, 글항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