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북한의 간호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현황, 정책 및 지원제도
2.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2.2.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2.3. 북한이탈주민의 정책 및 지원제도
3.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문제
3.1.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 및 건강문제
3.2.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위
4.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관리 및 증진 방안
4.1. 정신건강 지원 강화
4.2. 문화적응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지원
4.3. 통합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적응과 건강관리 지원이 필요하다.
1990년대 이후 북한 주민들의 탈출이 증가하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서의 어려운 생활과 탈북 과정에서 겪은 고통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감염성 질환, 만성 질환, 정신질환 등이 유병률이 높은 편이며, 건강증진행위 또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건강관리와 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탈주민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실제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문제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편이다. 특히 정신건강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며, 문화적응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지원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적 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결국 북한이탈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 내에서의 성공적인 정착과 통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현황, 정책 및 지원제도
2.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북한이탈주민의 개념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북한에 주소나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이 있는 사람으로 북한을 벗어나서 한국 외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이다. 대중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은 탈북자, 탈북민으로 부르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의 개념 자체는 1997년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북한 주민이 북한 내 기근과 식량난으로 대거 탈북하고 남한으로 유입이 대중적으로 널리 인식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북중 접경을 넘어서 중국을 활용해 제3국으로 이동하고 한국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이전에는 정치적 난민으로 귀순자를 이해했지만 경제적인 이유를 포함하여 복합적인 난민으로 성격이 변화하면서 이와 관련된 법률이나 정책이 정치 선전 차원에서 생활 보호 차원으로 변하게 되었다.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한 경제적 이유가 아니더라도 더 나은 삶을 위해 탈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정치적 억압이나 경제난 속 생존을 위한 난민으로 구조적 이주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북한이탈주민의 속성에서 이민자로서의 삶의 만족도를 위해 자발적인 이주라는 특성을 가진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2.2.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남성은 24.5%, 여성은 75.5%이다. 남성 중 15-19세 비율이 49.6%로 가장 높고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81.5%로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비율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연령의 경우 4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30대 50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의 남한 거주기간의 경우 10년 이상이 60.2%에 달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대부분 수도권에서 거주중이며 인천이 가장 높고, 서울, 경기 순으로 나타났다.
남북통합학력을 살펴보면 중고등학교 졸업 이하 66%이며, 그 다음이 대학교 재학 이상, 전문대학 졸업 이하 등의 순이다. 남한 거주기간이 길수록 학력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출신지역이 함경북도가 51.7%로 높으며 그 다음으로 양강도, 함경남도 순으로 나타났다. 탈북 동기의 경우 북한 체제 감시와 통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한 경우가 22.6%를 차지하면서 주된 탈북 동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식량 부족, 가족에게 더 나은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의 직업이 있는 경우가 60.7%로 노동자와 봉사원이 34.1%의 비율을 차지했다. 그 외 제3국에서는 직업이 있는 경우가 33.8였고 서비스직이 13.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생활 안정의 부분에서는 현 거주 주택 소유가 대부분 하나원에서 배정 받은 집이나 임대아파트가 54.5%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타인 소유의 집, 본인 소유의 집이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하나원에서 배정받은 집이나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한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
참고 자료
JSA 귀순 병사로 본 北 기생충 감염 실태,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84100003&ctcd=C03, (2018. 05. 19.), 주간조선, 김성훈 기자
탈북자를 통해 본 북한 주민 건강 상태…결핵·기생충감염 많아단국의대 연구팀, 탈북자 169명 진료 기록 분석,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007, (2018. 05. 19.), 청년의사, 송수연 기자
황상익, 1950년대 사회주의 건설기의 북한 보건의료, 2006, 서울대학교출판부
구소련
김신정 외 4인, 『국제간호』, 포널스 출판사, 2017, p49-5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러시아 의료보장제도』, 2012, p1~14
문경태, 이상은,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의료보장개혁』, 사회보장연구(제 26권, 제1호, 2010), p91~11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의료 러시아 진출 가이드』, 2013, p128
쿠바
외교부 http://www.mofa.go.kr/www/index.do
쿠바 의료의 10가지 특징 http://medigatenews.com/news/2480362064
쿠바의 보건의료체계와 일차의료 : '지역사회 의료제도'와 모자 보건정책을 중심으로, 이현옥,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2
한국 보건 사회 연구원 https://www.kihasa.re.kr/
정이나, 쿠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고찰 : 지역사회의학과 일차보건의료를 중심으로, 중남미연구 제36권 제2호, 2017.05, 153 – 185 (33 pages)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2019.03.02., p96-108.
북한
이민주, 『북한의 보건의료체계 현황』,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2018, 4면
이미경 외 1인, 「북한 사회보장제도의 실증적 연구: 의료보장제도의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7권 1호』, 북한연구학회, 2003, P209-236
박순성, 『남북한 사회보장제도의 비교 및 통합방향』, 북한보건의료네트워크, 2005
김충렬, 『북한의료제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 통일문제연구소, 2005, p103-126
이원식, 『북한 의료보장 제도 연구』, 원광대학교, 1992
민기채, 『북한 법령과 사전에 기초한 북한 사회보장제도의 이해』,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2018
김동국, 「북의 사회보장제도와 영국의 복지제도」, 『자유아시아 방송』, 2013, https://www.rfa .org/korean/weekly_program/eu_defector/co-dk-03292013123119.html (2020.09.23.)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57638
북한이탈주민의 이주 경험에 따른 사회지리관계망의 차별적 형성." 정연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http://www.riss.kr/link?id=T15767545
2022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실태조사, 장인숙, 윤설아. (2022): 1-198.
http://www.riss.kr/link?id=A108469962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서 지자체 역할 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신현숙. 대진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2.
http://www.riss.kr/link?id=T16099618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헬스리터러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http://www.riss.kr/link?id=T16605914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지원 정책 연구." 김지애.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http://www.riss.kr/link?id=T14164795
북한이탈주민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문화적 접근." 박소임.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http://www.riss.kr/link?id=T13705227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허세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http://www.riss.kr/link?id=T13975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