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학교병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순천향대학교병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병원의 역사

3. 미션, 비젼, 핵심가치

4. 순천향중앙의료원 조직도

5. 인재상

6. 간호부 소개
6.1. 간호부 추진 사업
6.2. 간호부 위원회
6.3. 간호부 직원 복지

7. 병원 위치 및 구조
7.1. 위치
7.2. 본관
7.3. 서별관
7.4. 동별관
7.5. 신관
7.6. 모자보건센터

8. 교육
8.1. 병원 화재시 행동 요령
8.2. 병원 화재시 대피요령
8.3. 소화전 사용법
8.4. 감염관리
8.5. 병원 안전관리
8.6. CPR 교육
8.7. OCS 처방 전달 시스템
8.8. 개인정보보호법

9. 레크레이션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순천향대학교병원은 1974년에 설립된 의료법인 1호로, 개원 당시 최신식 시설과 장비를 갖추어 국내 병원의 고급화 및 현대화에 기여하였다. 설립자인 서석조 박사는 한국 신경과학 발전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의료인이다. 순천향은 현재 3천 병상의 국내 굴지 의료기관으로 발전하였으며, 30개 진료과에 727병상을 운용하고 180여 명의 전문교수진을 포함하여 1,600여 명의 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순천향대학교병원은 인간사랑과 환자사랑의 순천향 정신을 바탕으로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고자 하는 미션을 갖고 있다. 또한 서울 중심의 최고 의료기관이 되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으며, 자기주도성, 도전정신, 조화와 협력을 핵심가치로 하고 있다. 순천향대학교병원은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국내 의료 수준을 선도하는 병원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2. 병원의 역사

순천향대학교병원은 1974년 성실, 봉사, 연구의 원훈 아래 하늘의 뜻을 받들어 인술을 펼쳐가는 고향마을을 만들어 가겠다는 인간사랑, 환자사랑의 순천향(天) 정신으로 개원했다. 우리나라 의료법인 1호다. 개원 당시 국내 의료기관들의 시설환경이 열악했던 상황에서 다른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들이 놀라움을 표시할 정도로 최신식 시설과 장비를 갖춰 국내 병원의 고급화 및 현대화에 불을 당기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설립자인 故 향설 서석조 박사(1921-1999)는 우리나라 신경과학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주인공이며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의료인 중에 한사람이다. 1946년도에 일본 경도부립 의과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1949년까지 서울대의대 내과 조교를 거쳐 미국 코넬의대에서 인턴과 내과 전공의를 마친 후 뉴욕 시립 벨부병원에서 신경내과를 전공했다. 이후 연세대 의대, 가톨릭의대, 고려병원, 백병원을 거쳐 1974년 용산구 한남동에 순천향종합병원을 설립했다. 이후 순천향은 현재의 순천향대학교병원을 모체로 개원 4년만인 1978년 학교법인 동은학원과 의학과, 간호학과를 갖춘 순천향의과대학을 설립하여 8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또한 1979년에는 순천향구미병원 개원에 이어 1982년 순천향천안병원을 개원하였고, 2001년에는 첨단 의료시설과 장비를 갖춘 부천병원을 개원하여 순천향의료원은 현재 3천 병상의 국내 굴지의 의료기관으로 발돋움했다. 현재 30개 진료과에 727 병상을 운용하고 있는 순천향대학교병원은 180여명의 전문교수진을 포함하여 1,600여명의 교직원이 환자 진료와 연구,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3. 미션, 비젼, 핵심가치

순천향대학교병원의 미션은 인간사랑의 순천향 정신을 바탕으로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는 것이다.

비젼은 서울 중심의 최고 의료기관이 되는 것이다.

핵심가치는 자기주도(Self-Authority), 도전정신(Challenge), 조화와 협력(Harmony), 정확(Accuracy), 성심성의(Be Cordial), 열정과 헌신(Commitment)이다.

순천향대학교병원은 인간 사랑과 환자 사랑의 순천향 정신을 바탕으로 고객중심의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며, 안전문화 정착을 통한 환자사랑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자기주도, 도전정신, 조화와 협력, 정확성, 성심성의, 열정과 헌신의 핵심가치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 즉, 순천향대학교병원은 인간 사랑과 환자 사랑을 최우선으로 삼고, 고객 중심의 최고 의료기관을 지향하며, 이를 위해 전직원이 자기주도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로 협력하며 정확성과 성실성을 발휘하는 것을 병원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4. 순천향중앙의료원 조직도

순천향중앙의료원 조직도는 다음과 같다. 순천향대학교병원은 학교법인 동은학원 산하에 있으며, 이사장, 이사회, 감사, 병원장 등의 조직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순천향대학교병원에는 의무부, 간호부, 진료협력, 진단검사, 영양, 교육 등의 다양한 부서가 있다. 이를 통해 순천향대학교병원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경영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순천향대학교병원은 순천향대학교와 연계된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5. 인재상

대학병원이란 앞서 포기할 수 없는 중요한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지역사회와 국가 의료 발전에 이바지할 사명이 있다. 이에 순천향대학교병원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이다. 개인적 사고와 행동에 있어 주체성을 확립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 병원이라는 조직 내에서도 자신의 역량을 끊임없이 개발하여 스스로 업무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자세를 지닌다.

둘째, 도전정신이 있다. 새로운 가치 창출과 혁신을 위해 기존 관행에 안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도전한다. 의료계의 변화와 발전...


참고 자료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9735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7/04/18/20170418002118.html?OutUrl=naver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20038
http://www.hidoc.co.kr/news/healthtoday/item/C0000010547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307_0014747935&cID=10807&pID=10800
https://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96584&MainKind=A&NewsKind=103&vCount=50&vKind=1&Page=3&sWord=&Qstring=sWord%3D%26sDate%3D#cm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7/04/18/20170418002118.html?OutUrl=naver
김종만 : 의료분야 6시그마 동향 및 시사점. SERI 6시그마. 2006.4.2.
노재범. 이팔훈. 이승현 : 서비스 이노베이션 6시그마. 삼성경제 연구소. 2005.3.
딜 토이드 컨설팅 코리아 6시그마 그룹 : 서비스 산업분야를 위한 린 6시그마(Michaek L. George저), 한국 맥 그로힐. 2006.4.
박성현, 이명주, 정목용 : 6시그마 혁신전략. 네모 북스. 2005.5.
배영일, 조영권 : 6시그마의 현황과 미래. CEO Information(516). 2005.8.6.
이주형 : 6시그마 콘서트. 가산 출판. 2006.7.
박영택, “6시그마는 초일류 기업의 기준,”품질경영, No. 5, 1998, pp. 96-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