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로나 국제적 협력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WHO의 "팬데믹" 선포
3. 코로나의 펜데믹 선포와 국제정치
4. 한국외교의 과제와 대응방향
5. 국제적 협력 사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을 선언한 이후, 각국의 대응 전략과 국제사회의 공조가 주목받고 있다. 국제사회는 팬데믹 상황에서 감염병 확산을 막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WHO의 팬데믹 선포와 그에 따른 국제정치적 영향, 각국의 대응 사례와 과제, 그리고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과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국가 간 협력과 공조가 중요한 시점에서 발생한 중대한 사건이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유사한 감염병 사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2. WHO의 "팬데믹" 선포
2020년 1월 30일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하였다. 이는 감염병 위험도를 나타내는 최고 경고 등급 중 하나로, 감염병이 특정 권역을 넘어 2개 대륙 이상으로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후 코로나19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자 WHO는 2020년 3월 11일 사상 세 번째로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을 선포하였다.
팬데믹은 특정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것으로, WHO는 1948년 설립 이래 1968년 홍콩독감, 2009년 신종플루, 2020년 코로나19 등 세 차례에 걸쳐 팬데믹을 선포한 바 있다. 특히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WHO는 이에 대해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3월 11일 팬데믹을 선언하였다.
이처럼 WHO의 팬데믹 선포는 특정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각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해당 감염병에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 코로나의 펜데믹 선포와 국제정치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으로 국제사회의 변환기적 성격은 더욱 심화되며, 기본적으로 미중 전략경쟁, 반세계화, 세력경쟁 각자도생, 국내정치 지향 등의 '뉴 노멀' 현상이 더욱 촉진될 것이다. 또한 중견국·중간국을 중심으로 초국가적 신 안보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다자협력과 지역 협력도 산발적·제한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반외국인정서/인종차별, 국경통제, 비자유주의적 ...
참고 자료
바이오스펙테이터, WHO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9770, 2020.03.12
메디칼트리뷴, WHO 코로나19 ‘세계적대유행’ 선언
http://www.medical-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121, 2020.03.12
BBC 코리아, WHO ‘코로나19 발병이 결정적인 시점을 맞았다’
https://www.bbc.com/korean/51670013, 2020.02.28
연합뉴스, WHO ‘코로나19, 훈련상황 아니다’ 글로벌 총력전 강력 촉구
https://www.yna.co.kr/view/AKR20200306055600009, 2020.03.06.
차규현, 「‘코로나19’를통해 본 ‘新안보’와 국제질서」, 『이슈브리프』 2020, 아산정책연구원, 2020.03.25.
한국투자증권, 『제약·바이오산업』, 2020.4.13
SK증권, 『SK INDUSTRY ANALYSIS제약/바이오』, 2020.4.13.
김백상, 2020, 부산일보, 치사율 비교적 낮지만 체감 공포감은 역대 최고
김차경, 2020, 정책브리핑, ‘K-방역’은 진화 중…모범사례 넘어 세계 표준으로
강한웅, 2020, 한의신문,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신속하게 끝까지 지원한다”
김백상, 2020. 코로나 전쟁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 어디까지?
김효정, 2020, 주간조선, 코로나19 그 이후, 다섯 가지의 변화
김수현, 2020, 머니투데이, 포스트 코로나시대 세계화의 판도가 달라진다
송영구, 200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전염병의 역사는 ‘진행 중’ Korean Journal of Medicine : Vol. 68, No. 2
전규식, 2020, 메디칼옵저버, 코로나19, 지역 사회 확산되기 쉬운 특성 지녀
정책브리핑, 2020, 위기 속 대한민국 위상 높인 ‘코로나 외교’
국회도서관. (2023). 재난안전관리 한눈에보기.
행정안전부. (2023.3.2). [보도자료] 행안부, 위기관리 지침서(매뉴얼)의 현장 작동성 강화 추진.
행정안전부. (2023.4.23). [보도자료] 재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개정 본격 추진.
이부하. (2021). 해외 주요국의 재난피해 보상 및 지원체계와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질병관리청. (2023.6.8). [보도자료] 「제3차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23~’27).
행정안전부. (2022.9.8). 제11호 태풍 「힌남노」 대처상황 보고.
행정안전부. (2021). 대한민국 재난안전관리.
BBC NEWS 코리아. (2022.10.31). 이태원 사고는 어떻게 일어났나.
이병기, 고경훈. (2018). 스마트 사회의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강화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임세희 외. (2021). 재난 대응 아동보호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권리보장원.
WEF. (2023). The Global Risks Repor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