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확산이론과 국가중심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2.1. 사회양심론
2.2. 시민권론
2.3. 수렴이론
2.4. 확산이론
2.5. 음모이론
2.6. 이익집단정치이론
2.7. 국가중심이론
2.8. 환경결정론
2.9. 엘리트이론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정책은 정부가 국민의 복지를 위해 실시하는 다양한 활동이다. 이는 사회문제의 발생을 사회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모든 국민의 보편적 문제로 인식하여 사회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정책의 주요 기능에는 사회통합과 정치적 안정, 사회문제 해결과 사회적 욕구 충족, 개인의 자립과 성장 보장, 소득재분배 등이 있다. 본 과제에서는 사회복지정책 발달에 기여해 온 다양한 관점의 이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2.1. 사회양심론
사회양심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타인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의무감이 증대되면서 사회복지의 발전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관점이다. 1950년대 영국 사회정책학에서 처음 등장한 이 이론은 사회복지정책이 국가의 자선적 활동이 아니라 사회적 양심의 발달에 의해 진보된다고 주장한다.
개인의 사회적 의무감과 인도주의적 가치관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복지정책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 단순히 기술의 발달이나 산업화의 정도가 아니라 인간의 의식 향상에 기인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사회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양심이 증대되어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이를 토대로 정부가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을 시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양심이론은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 단순한 경제적 요인이나 정치적 고려사항이 아닌, 인간의 본질적인 도덕성과 이타성에 기반한다고 보는 낙관적이고 이상주의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인간의 양심이 발달하면 자연스럽게 사회복지정책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사회복지정책의 발전 양상이 일관적이지 않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회양심이론은 사회복지정책 발달의 다양한 요인들, 특히 정치적ㆍ경제적 요인들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사회복지정책은 단순히 개인의 도덕성이나 양심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사회의 정치ㆍ경제ㆍ문화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는 복합적인 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양심이론은 사회복지정책의 발달과정을 지나치게 이상화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2.2. 시민권론
마샬(T. H. Marshall)은 18세기에 형성된 공민권이 인간의 기본적 자유권의 핵심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법 앞의 평등,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 등으로 영국사회가 근대적 시민사회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19세기에 발달한 정치권을 마샬은 한 사회의 성원으로서 투표할 수 있는 권리뿐만 아니라 대의기구에 선출될 수 있는 권리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에 확립된 사회적 권리, 즉 복지에 대한 권리(right to welfare)를 일반적 권리로 보고 이를 시민권이라고 하였다. 이는 공동체의 완전한 성원들에게 부여되는 하나의 권리로 정...
참고 자료
사회복지조사론 교안
송근원, 김태성, 1995, 사회 복지 정책론, 나남 출판사
박정호, 2001, 사회 복지 정책론, 학지사
이정우, 2002, 사회 복지 정책, 학지사
사회복지연구센터, 2013, 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홍봉수외,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19
김경호 외, 사회복지정책론, 북앤정, 2023
이진숙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성원, 2021
손병덕, 사회복지정책론, 학지사, 2020
남기민, 『사회복지정책론』, 학지사, 2004.
전남진, 「국가발전과 사회정책발달이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