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지털교육 유아놀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디지털교육과 유아놀이
1.2. 유아대상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
2. 유아대상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 활용
2.1. 유치원의 유아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 탐색
2.2. 대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적용
2.3. 애플리케이션 활용의 교육적 의미
3. 유아의 일상생활과 인공지능 기술 접목
3.1. 인공지능 기반 놀이 및 학습 앱 활용
3.2. 인공지능 활용 교육 콘텐츠의 현장 적용
3.3. 유아 놀이활동에 인공지능 기술 도입
3.4. 인공지능 활용 시 고려사항
4. 결론 및 제언
4.1. 연구 요약 및 결론
4.2. 유아 인공지능 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디지털교육과 유아놀이
디지털교육은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유아 놀이 활동이 유아들의 학습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유아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놀이를 통한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다. 맞춤형 학습 콘텐츠 제공, 개별화된 피드백, 실시간 상호작용 등을 통해 유아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스마트 장난감, 음성 인식 기술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놀이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및 상상력 발달, 문제 해결력 향상, 협력 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교육과 유아놀이를 접목하여 유아들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1.2. 유아대상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
유아대상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유아의 호기심과 탐구 정신을 자극하고, 학습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가상 실험 환경을 제공하여 유아들이 다양한 과학 실험을 안전하게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유아들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과학적 개념을 직접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대화형 로봇이나 인터랙티브 동화를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과학적 개념을 가볍고 재미있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개념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교육은 사람의 수준에 맞춰 눈높이식 교육이 가능하여 유아들의 학습능력과 수준에 맞는 고단위의 학습이 가능하여 많은 유아들에게 흥미롭고 재미있는 유아과학교육이 가능하다.
2. 유아대상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 활용
2.1. 유치원의 유아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 탐색
유치원에서 유아 대상의 놀이에 활용이 가능한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AI Duet, Quick Draw, Auto Draw, AI for Oceans, Animated Drawings, Naver app, Clova Note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들은 공통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와 태블릿 PC를 함께 활용하여 구동한다.
AI Duet은 구글의 크리에이티브 랩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음악 연주 콘텐츠이다. 사용자가 AI Duet 화면의 키보드를 입력해 멜로디를 연주하면, 이 프로그램은 딥러닝을 활용해 해당 연주를 학습하고 새로운 멜로디를 창작한다.
Quick Draw는 구글 AI Experiments를 기반으로 개발된 인공지능 체험 애플리케이션으로, 인공지능이 먼저 단어를 제시하면 사용자가 그에 해당하는 그림을 그리고, 프로그램은 인공신경망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그림이 표현하는 바를 추론하여 대답한다.
Auto Draw는 Quick Draw와 동일한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며, 사용자가 그린 그림을 인공지능이 분석하여 추천 그림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인공지능이 추천한 그림 중 원하는 그림을 선택하여 추가 작업을 할 수 있다.
CODE.ORG가 개발한 AI for Oceans는 해양 생태계와 연계하여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한 콘텐츠이다. 사용자는 나타난 그림이 물고기인지 물고기가 아닌지를 선택하며, 인공지능을 프로그래밍하여 물고기와 쓰레기를 구분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Animated Drawings는 사용자가 그린 캐릭터를 인공지능이 이미지와 배경을 분리하고 뼈대를 인식하여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이다.
Naver app은 네이버가 딥러닝 기반의 스마트 렌즈에 멀티모달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하여 이미지와 텍스트가 조합된 정보를 입력하면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Clova Note는 AI 기반의 음성 녹음 텍스트 변환 애플리케이션으로, 대화 내용...
참고 자료
이재은, 오세경 「유아의 인공지능 놀이가 놀이몰입 및 인지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 제28권 제6호, 2023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1654550
공용(2020), 유아과학교육, 유아 과학적태도와 과학과정
유은영, 조형숙(2023). 유아과학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교육부, 보건복지부(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 이해 자료집.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2&boardSeq=79420&lev=0&m=03
문미옥외 3인 (2000),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 교문사
박정민ㆍ유연화 (1999), 유아과학교육, 서울 : 창지사
박윤배외 2인 (1998), 놀이를 통한 과학학습, 서울 : 학지사
신은수외 3인 (1994), 생활과 환경중심의 유아과학교육, 서울 : 양서원
이순희외 3인 (1998), 유아를 위한 과학 및 수학활동, 서울 : 양서원
이영석외 3인 (1994), 유아교육실습, 서울 : 형설출판사
공용, 1922, 뉴미디어론, 디지털 기술발전과 더불어 디지털격차 (Digital Divide) 디지털 격차 집단극화 해결방안
공용, 2008, 정보사회문제,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사회
권태환 외, 2002, 미래 M&B,정보 사회의 이해
김종길 ․ 김문조, 집문당(2006), 디지털 한국사회의 이해
박은정, 2022, 유아교육, 유아디지털 교육에 있어 어머니의 적극적인 부모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