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글로벌 시대와 예술의 가치 정리해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근대 문화와 예술의 등장
1.2. 인상주의 회화의 특징
1.3. 후기 인상주의와 현대회화의 근간
2. 본론
2.1. 세잔과 메를로-퐁티의 회화론
2.2. 세잔의 혁명성과 대상의 객관적 진실 표현
2.3.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대한 철학적 해석
2.4. 글로벌 문화의 정의와 구성요소
2.5. 글로벌 문화 모델 비교: Hofstede, Hall, Trompenaars
2.6. 글로벌 경영에서의 문화관리 방안
3. 결론
3.1. 근대 예술의 새로운 지평
3.2. 글로벌 문화의 특성과 중요성
3.3. 글로벌 경영을 위한 문화관리의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근대 문화와 예술의 등장
19세기 말 유럽에서는 급격한 기술 진보와 새로운 사물들이 등장하였다. 축음기, 사진, 자동차, 전화, 엑스레이, 비행기 등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들뜬 분위기가 감돌았다. 1889년 파리에서 열린 만국박람회는 유럽의 기술 진보를 자축하는 파티나 다름없었다.
이러한 근대적 변화로 인해 도시의 삶이 변화하였다. 부유한 삶, 자본주의화된 삶, 익명적인 삶 등 새로운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개념도 변화하였는데, 증기기관차의 등장으로 시간과 공간이 좁혀지게 되었다.
근대 미술의 흐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사진의 발달로 그림의 재현 기능이 무력화되면서 화가들은 위협을 느꼈다. 이에 예술가들은 새로운 것에 대한 동경과 전통에 대한 반역, 규범의 파괴 등 새로운 미학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예술은 더 이상 형, 색, 공간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보여주는 것이 되었다.
이와 함께 예술가들의 위상도 변화하였다. 예술가들은 귀족 및 부르주아 세력과 분리되어 심화되었고, 세속적 화가들과 이단자 그룹으로 양분되었다. 예술혼과 창작의 욕구를 위해 배고픈 자가 되기를 자처하며, 권위로부터 자유로워진 예술은 사회 비판적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했다.
1.2. 인상주의 회화의 특징
인상주의 회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에서 재현원칙에 따른 원근법, 색체학에 입각한 그림을 그리는 것을 반대한다. 둘째, 현장에서 눈에 보이는 빛의 운동감과 속도감을 그리려 한다. 셋째, 빛에 따라 변화하는 색의 가변성을 포착하려 한다. 이를 위해 동일한 대상이나 풍경을 시간대별로 연작으로 그린다. 넷째, 미완성, 불완전성, 변화 등의 특징을 지닌다. 다섯째, 공간을 없애고 가변적 이미지를 남긴다. 여섯째, 소재가 파격적이며 자연광을 중요시한다. 일곱째, 공간적 깊이를 상실하여 평면성이 강하다. 여덟째, 모던의 지각을 강조하기 위해 속도감을 중시한다. 아홉째, 감정에 상관적인 색감과 질감을 강조한다. 열째, 속도감의 강조는 점묘법으로 이어진다.
1.3. 후기 인상주의와 현대회화의 근간
세잔은 인상파의 빛과 색에의 집중을 인정하면서도 대상이 가진 견고한 사물성에 주목하였다. 그는 사물의 기본 형태를 원통형, 원추형, 구형으로 간주하고 화면에 복수의 시점을 도입하여 일찍이 큐비즘에 영향을 주었다. 세잔은 자연에 지배당하지 않는 회화를 추구하여 2차원 화면에서 3차원의 공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의 사과나 인물화에서는 대상과의 내밀한 조우가 느껴지며, 화가와 대상 간의 상호작용이 잘 드러난다.
한편 메를로-퐁티는 세잔의 회화론을 정교화하였다. 그는 지각의 주체가 '사유'가 아닌 '신체'라고 보았다. 지각의 순간에는 혼란스러움이 존재하며, 이를 논리적 반성을 통해 정돈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메를로-퐁티는 데카르트의 신체-정신 이원론을 극복하고 '살'이라는 개념을 통해 세계와 인간의 상호교환적 관계를 설명하였다. 그에 따르면 화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세계의 모습을 포착하여 보여줌으로써 회화적 목표를 달성한다.
이처럼 세잔과 메를로-퐁티는 후기 인상주의와 현대회화의 핵심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세잔은 대상의 객관적 진실 표현을 추구하며 화면의 구조화를 시도하였고, 메를로-퐁티는 이를 바탕으로 화가와 지각 주체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들의 혁신적 회화론은 20세기 현대 회화의 기반이 되었다.
2. 본론
2.1. 세잔과 메를로-퐁티의 회화론
세잔은 인상파가 강조하는 빛과 색에 주력하였으나, 대상이 가진 견고한 사물성에 집중하...
참고 자료
이재현, 커뮤니케이션북스, 디지털문화, 2013
전경수. "비교의 개념과 문화비교의 적정수준 ." 비교문화연구 -.1 (1993): 1-29. 서설적 검토
이일섭. "문화콘텐츠 글로벌 창작 소재 개발 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서울
『2018년도 국립현대미술관 주요업무계획』, 국립현대미술관(2018)
『미술관 특성화를 위한 전시 운영 방안-국내미술관 전시 경향을 중심으로』, 김보라(2004.), p18~35, p47~54
「미술관 관리운영서식 매뉴얼」, 한국사립미술관협회(2009)
“미술의 소유자와 향유자-정종효(경남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경남신문(2015.10.30.), 김재익기자,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162588
“[광주문화읽기-윤 익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실장]닭이 먼저인지, 계란이 먼저인지”, 광주일보(2018.08.29.),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35468400639985270
“전시기획의 방법”, 박물관학 개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8762&cid=43112&categoryId=43112
“미술과 미술관의 문턱을 낮춘 도심 속 미술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12.10.29.),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
http://www.korea.kr/news/cultureColumnView.do?newsId=148751932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2018.10),
http://news.kawf.kr/?subPage=02&searchCate=11&idx=443
“전시기획, 개념과 실천의 동시미학”, 아르코미술관 큐레이터 고원석(2012.06),
http://www.theartro.kr/kor/features/features_view.asp?idx=1227&b_code=61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