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침 스포츠 클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 19와 취미생활의 변화
1.1.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의 취미생활 양상
1.1.1. 취미생활에 투자하는 시간의 증가
1.1.2. 취미 종류의 변화
1.1.3. 취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확대
1.2. 코로나 19 상황이 지속될 경우의 취미생활 전망
1.2.1. 기술의 발전이 이끄는 새로운 취미 세계
1.2.2. 능동적인 취미활동
2. 현대 사회와 일상생활 속의 스포츠
2.1. 스포츠의 순기능과 역기능
2.2. 역기능 측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2.1. 과도한 경쟁과 스트레스
2.2.2. 부상과 건강 문제
2.2.3. 상업화와 돈의 문제
2.2.4. 성과 압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 19와 취미생활의 변화
1.1.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의 취미생활 양상
1.1.1. 취미생활에 투자하는 시간의 증가
직장인들은 대개 사무실 안에서만 하루의 8시간 이상을 보낸다. 여러 사람이 모여있는 사무실이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방역수칙과 거리두기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며 반나절을 보내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로 직장이 밀집된 지역에서 몇 차례의 집단 감염이 일어났고,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택근무를 권장하는 직장이 많아졌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 자체가 길어졌을 뿐 아니라 출퇴근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줄어들면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여유도 생겼다. 아침저녁으로 출퇴근을 하면서 퇴근 후 저녁 시간을 취미활동에 투자하기란 쉽지 않지만, 재택근무자는 업무 외 활동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1.1.2. 취미 종류의 변화
코로나 19 이전에 가장 유행하던 취미 중 하나로 해외여행을 꼽을 수 있다. 당시 한창 인기 있던 TV 프로그램인 "윤식당"이나 "꽃보다 할배"도 해외여행과 관련된 콘텐츠를 주제로 삼고 있었으며, 주변에서 휴가철이 아닐 때도 짬짬이 연차를 모아 가까운 해외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심심찾이 볼 수 있었다. 지루한 일상을 떠나 낯설고 신선한 공간에서 기분을 환기해주는 해외여행은 굉장히 인기 있는 취미였다.
해외여행과 같이 코로나 19로 인해 즐기기 어려워진 취미활동이 있지만, 코로나 이후 새롭게 주목받는 취미활동도 있다. 코로나 19 이전에도 유튜브와 OTT(Over The Top) 서비스가 있기는 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유튜브와 OTT 등 인터넷을 활용한 매체는 더욱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었다. 코로나 이후, 사람들은 TV나 라디오 같은 일방적 매체 대신 유튜브나 클럽하우스 등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매체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외부 활동과 대면 모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회적 소통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매체는 코로나 상황에서 더욱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러한 매체를 활용한 취미활동에는 이미 존재하는 콘텐츠의 시청 및 청취뿐 아니라 취미 향유자가 직접 행하는 촬영, 스토리텔링, 토론 등 다양한 범위의 활동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스포츠 활동은 코로나 이전부터 꾸준히 사랑받아온 취미이다. 코로나 19 이후 외부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운동의 중요성은 전보다 더 커졌지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의 종류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여럿이 모여야만 즐길 수 있는 축구나 농구, 불특정 다수가 시설을 공유하는 헬스나 수영 등의 스포츠는 전처럼 자유롭게 즐길 수 없게 되었다. 대신, 퍼스널 트레이닝이나 소그룹 트레이닝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더불어 홈트레이닝용 운동기구의 수요도 크게 늘었다.
1.1.3. 취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확대
클래스 101이나 아이...
참고 자료
이상우, 「코로나 19 시대의 콘텐츠 산업」, 스페셜N, vol.15
한국콘텐츠진흥원, 「코로나 19가 콘텐츠 이용행태에 미친 영향」, 스페셜N, vol.15
이지혜, 「36.8% ‘코로나 블루’ 호소… OECD 중 한국이 최다」, 한겨레, 2021-05-18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95688.html
이윤진, 「코로나 장기화가 만든 ‘집콕’ 생활… 취미시간 늘었다」, 시사cast, 2021-04-28, http://www.sisacast.kr/news/articleView.html?idxno=33263
뉴스1, 「코로나19의 아이러니…‘저녁이 있는 삶·집콕 취미 열풍’」, 동아일보, 2020-09-04,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904/102788150/1
한주경, 「직장인 57% 재택근무…“90%가 취미생활에 관심"」, 금융경제, 2020-03-31
https://www.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489
맹하경, 「지옥철 대신 방에서 퇴근하니…직장인들 “취미 생겼어요”」, 한국일보, 2020-03-3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301011069677
문개성, 「스포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김동규 외,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영남대학교출판부, 2007
진성태, 「체육학개론」, 대경북스, 2013
최종삼 외, 「체육학 개론」, 디자인21, 2020
권구원, 「중학생 농구스포츠클럽 참여 경험 및 사회적 가치 연구」, 국민대학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