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학대의 정의와 유형
1.1.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아동학대란 18세 미만의 아동에게 고의적으로 신체적, 정서적 피해를 입히는 행위뿐만 아니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을 해주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아동학대는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는 행위이다.
1.2. 아동학대의 유형
1.2.1. 신체적 학대
신체적 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적 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우발적 사고를 제외한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체적 학대에는 구타, 폭력에 의한 멍, 화상, 찢김, 골절, 장기파열, 기능 손상 등이 해당되며, 생후 12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가해진 처벌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학대행위로 분류된다. 신체적 학대 유형 중에서는 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손발로 때리는 경우, 도구를 사용하여 때리는 경우, 꼬집거나 물어뜻는 경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체적 학대의 결과로는 외상 없음이 가장 많았지만, 멍듦, 찢김, 골절, 뇌손상 등 심각한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1.2.2. 정서적 학대
정서적 학대는 아동의 보호자나 양육자가 아동을 대할 때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며, 아동의 정서·사회성 발달에 치명적인 상처를 심어줄 수 있을 정도의 언어적, 정서적 공격을 가하는 것이다. 정서적 학대는 직접적인 학대와 간접적인 학대로 나눌 수 있는데, 직접적인 학대는 아동에게 폭언, 또는 아동을 거부하는 행동이나 표정 등을 말하고, 간접적인 학대는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 간의 불화에 의한 폭언 등으로 아동에게 정신적 손상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아동의 인격이나 감정, 기분을 심하게 무시하거나 모욕하는 행위, 좁은 공간에 장시간 혼자 가둬 놓는 행위, 거부적 적대적 또는 경멸적인 언어폭력 등이 있다. 이러한 정서적 학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를 손상시켜 단기적으로는 아동의 행복 및 대인관계, 학교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후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그 증상이 지속되므로 장기적으로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
1.2.3. 성 학대
성 학대는 성인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미성숙한 아동과 청소년을 그들의 동의 없이 그리고 사회적 금기를 어기는 성적 활동에 개입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적 유희, 성기 및 자위행위 장면의 노출, 관음증, 성기 삽입, 성적 접촉, 강간, 매춘, 매매, 포르노 매체에 배우로 출연, 포르노물 판매 행위 등이 포함된다. 성 학대는 아동에게 가져다주는 피해와 후유증이 매우 심각하며, 심지어 평생토록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성 학대의 경우 '영혼의 파괴자'라 할 정도로 아동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성 학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더불어 피해 아동에 대한 체계적인 심리치료 및 지원이 필요하다.
1.2.4. 방임
아동방임은 부모나 주 양육자 혹은 보호자가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아동양육 및 보호, 교육을 소홀히 함으로써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행위이다. 방임에는 물리적 방임, 교육적 방임, 의료적 방임, 그리고 방임으로 인한 가출 등이 포함된다.
물리적 방임은 의식주 제공의 소홀로, 아동에게 적절한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거나 위험하고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