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이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한다. 급성 심근경색은 심근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능력에 영향을 주어 심인성 쇼크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1.2. 병태생리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이에 따른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경색 부위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한다. 발병 후 ~12시간 경과 시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회갈색으로 변한다. 2~4일이 지나면 괴사부위가 더욱 명확해지며, 4~7일이 지나면 중앙부의 심근이 유연해져 출혈과 심근의 파열이 올 수 있다. 7~10일이 지나면 괴사부위는 점차 회색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일어나며, 10일~6주에 걸쳐 섬유성 반흔조직으로 점차 대치되어 치유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심장기능이 현저히 약화되게 된다.
경색 부위는 폐색된 혈관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좌관상동맥 전하행가지(LAD)의 폐색으로 인한 좌심실 전벽경색이 가장 흔하고, 좌심실의 후벽과 승모판의 후측 부위, 그리고 횡격막 닿는 부분에도 많이 발생한다. 좌심실 후벽의 경색은 우관상동맥(RCA)과 좌관상동맥의 회선가지(LCX)의 폐색으로 발생한다.
1.3. 원인 및 분류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심근경색증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심내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4. 증상
흉통은 심근경색증이 발생했을 때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가슴이 무겁게 짓눌리고, 격렬하고 쥐어짜는 듯한, 심한 분쇄통이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으로도 완화되지 않는다. 흉통은 활동 중이나 휴식 시, 수면 중에도 일어날 수 있으며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한다.
심근경색증 환자의 1/3은 발병 1~4주 전에, 2/3는 1주 이내에 협심통을 경험하며 환자의 50%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행을 모르고 지내다가 갑자기 발생하기도 한다.
심근경색 발작 환자는 혈관폐색이 일어나는 순간 갑작스런 흉통과 함께 몸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빠지고 숨이 차며 흔히 오심·구토를 호소한다.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 종종 비특이적 흉통 증상을 경험하는데 소화불량, 속쓰림, 오심과 구토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1.5. 임상적 진단
심근경색증의 임상적 진단은 심전도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심전도검사에서는 QRS군, ST분절, T파의 변화를 통해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