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인지전의 개념과 정의
인지전(cognitive warfare)의 개념과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인지전은 정보와 기타 수단을 활용하여 인간의 인지능력을 공격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의 사고방식을 변화시켜 의사결정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전쟁수행 양상이다. 또한 인지전은 대중 및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또는 정부의 행동 및 제도를 불안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외부 주체가 여론을 무기화하는 것이며, 정보의 흐름을 제어하고 사람들의 정보에 반응하는 방식을 통제하거나 바꾸는 전략이다. 인지전은 정보환경을 구성하는 3개의 차원 중 인지적 차원에 주목하는데, 인지적 차원은 지각, 인식, 이해, 신념, 가치가 상주하는 영역으로 인간의 결심행위가 이루어지는 핵심적인 영역이므로, 이 영역을 조작할 경우 상대방의 올바른 결정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하게 만들어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상대방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2. 인지전의 중요성
인지전은 정보와 기타 수단을 활용하여 상대방의 인지능력을 공격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의 사고방식을 변화시켜 의사결정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전쟁 양상이다. 정보환경의 인지적 차원, 즉 지각, 인식, 이해, 신념, 가치가 상주하는 영역을 조작하여 상대방이 올바른 결정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하게 만듦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상대방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 인지전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군사적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흐름을 제어하고 사람들의 정보에 반응하는 방식을 통제하거나 바꿈으로써 여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지전은 현대전에서 핵심적인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미래전에서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인지전의 사례
2.1.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전쟁 이전 인지전의 성과를 확대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비무장화하고 비나치화하는 것, 우크라이나 정부에 의해 괴롭힘과 대량학살의 대상이 된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 우크라이나의 중립적 지위를 보장하는 것을 내세워 침공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군사안보전략이 러시아를 지향하고 테러리스트 운용을 제안한다고 주장하며, 우크라이나의 국방비 지출 증가, 핵무장화 가능성, 서방의 군사지원 등이 러시아가 지속적으로 상정해온 위협들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군사행동을 하게 되었다고 선전하였다. 또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내에서 러시아어 사용을 제한하고 러시아인의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 나치를 연상시킨다고 비판하며 현 우크라이나 정권이 나치화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러시아는 SNS와 언론을 통해 미국이 우크라이나 생물무기 연구를 후원한다는 뉴스, 서방의 무기로 인한 우크라이나 내 친러시아 세력 학살 정황, 우크라이나의 병원과 민간인 무차별 폭격 등을 계속해서 유포하였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서방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가짜뉴스로 매도하여 신뢰성을 훼손하고, 러시아의 초반 승리를 과장하여 우크라이나의 분열을 조장하였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의 항복선언 가짜 동영상을 유포하여 우크라이나 국민과 군대의 대항 의지를 말살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러시아의 인지전은 선제 침공이라는 사실로 인해 정당성을 상실하였고, 우크라이나와 서방의 SNS 차단, 신속한 팩트 체크와 보도 등 효과적인 대응으로 인해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오히려 러시아 국내의 여론 지지를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2021년 5월 7일, 라마단 마지막 주 금요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