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감염폐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렴의 개요
1.1. 폐렴의 정의
1.2. 폐렴의 중요성
1.3. 폐의 구조와 기능
2. 폐렴의 분류
2.1. 원인 병원체에 따른 분류
2.2. 역학적 요인에 따른 분류
2.3. 임상 기간에 따른 분류
2.4. 해부학적인 분류
3. 폐렴의 병태생리
4. 폐렴의 원인 및 위험요인
4.1. 지역사회성 폐렴
4.2. 병원성 폐렴
5. 폐렴의 임상증상
6. 폐렴의 진단검사
6.1. 객담과 혈액검사
6.2. 흉부 X-선 검사
6.3. 기타 검사
7. 폐렴의 치료 및 간호
7.1. 항균제 치료
7.2. 가스교환 증진과 기도 개방 유지
7.3. 감염예방
7.4. 증상조절
8. 폐렴 환자 퇴원 교육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렴의 개요
1.1. 폐렴의 정의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해 폐의 실질조직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폐렴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기침과 가래, 호흡곤란, 흉통, 발열 등이 있다. 병원체가 폐로 침입하면 폐포 내에서 증식하고 면역반응이 일어나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폐포가 액체 삼출물로 채워지게 되고 폐환기와 가스교환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폐렴은 폐의 실질조직에 생기는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볼 수 있다.
1.2. 폐렴의 중요성
폐렴은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음에도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 Pneumonia의 사망률은 48.1명으로 일본(2015년 49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이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폐렴으로 사망하는 노년층이 많아졌기 때문이라 사료 된다. 따라서 폐렴은 사회적으로 큰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폐의 구조와 기능
폐는 가볍고 스폰지 같은 모양으로 구멍이 많이 있고 탄력성이 있으며, 흡기에 의해 팽창되고 호기에 의해 수축된다. 폐는 얇지만 단단한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를 흉막(늑막)이라고 한다. 폐는 밑으로는 횡격막과 맞닿아 있으며, 폐의 전벽에는 흉골, 전후벽 및 측벽에는 늑골이, 후벽에는 흉추골이 있어서 폐를 보호해 주고 있다. 폐는 3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를 각각 늑골면, 횡격막면 및 종격면이라고 하며, 이중 내측인 종격면이 심장과 맞닿아 있다. 정상적으로 성인의 우측폐는 좌측폐보다 넓고 짧으며 무게는 625mg, 정상 폐 기능의 55%를 담당하고, 좌측폐의 무게는 560mg이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에서 산소를 섭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해야 하는데, 이러한 호흡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관이 바로 폐이다. 몸 속으로 들어온 산소는 폐로 가서 혈액을 따라 온 몸에 운반되어 에너지 대사에 이용되고, 이산화탄소로 변화되어 혈액으로 돌아오면 다시 폐에서 몸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폐는 호흡이라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기관인 것이다.
2. 폐렴의 분류
2.1. 원인 병원체에 따른 분류
폐렴의 원인 병원체에 따른 분류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으로 나뉜다""
세균에 의한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체는 Streptococcus pneumoniae으로 지역사회의 1/3을 차지한다"" 그 밖에 Mycoplasma pneumoniae, Hemophilus influenza, Chlamydophila pneumoniae, Legionella pneumophilia 등도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바이러스는 주로 청소년과 노인에게 많이 발생한다""
또한 진균 감염에 의한 폐렴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Pneumocystis jirovecii(이전의 Pneumocystis carinii), Aspergillus, Cryptococcus 등이 면역저하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2.2. 역학적 요인에 따른 분류
폐렴은 지역사회성 폐렴과 병원성 폐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역사회성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 CAP)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병원에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한 폐렴이다"" 주로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며, 건강한 성인부터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까지 다양한 군으로 분류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으로 전체 CAP의 약 1/3을 차지한다"" 그 외에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인플루엔자균, 클라미디아 폐렴균 등이 원인균이 될 수 있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면역저하, 만성폐질환, 흡연, 장기간 부동 등이 있다"
병원성 폐렴(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은 병원 입원 후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폐렴을 말한다"" 주로...
참고 자료
김경수, 이선미(2010.12), 인공호흡기 관련 감염관리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폐렴 발생에 미치는 효과, 서울, 중환자간호학회지 제3권 제2호.
김금순,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향숙, 이명.... 석소현 (2017), 성인간호학 I, 제8판, 파주, 수문사.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영 외(2017). 성인간호학 상 [제7판]. 서울: 현문사. 561~565
퍼시픽 학술편찬국(2016). 성인간호학1. 서울: 퍼시픽북. 192~194
김진구, 급증하는 ‘폐렴’ 사망률…10년새 300% 넘게 증가, 헬스조선, 2018.09.19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9/201809190204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