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 여성 출산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 여성의 임신 및 출산 문화 조사
1.1. 임신 문화
1.2. 출산 문화
2. 다문화 여성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이해
3. 다문화 여성의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간호요구와 해결방안
3.1. 간호 문제 1 (임산부의 건강관리)
3.2. 간호 문제 2 (모자보건서비스 제공)
3.3. 간호 문제 3 (의사소통의 어려움)
4.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 여성의 임신 및 출산 문화 조사
1.1. 임신 문화
태몽 용·오이·뱀·닭 등은 아들을 상징하며 보석·꽃·과일·병아리 등은 딸을 상징한다. 중국에서는 아기 이름을 너무 일찍 짓지 않는 전통이 있는데, 그 이유는 태명을 일찍 지었을 경우, 태아가 뱃속에서 위험해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안정기에 접어들고 4개월 정도 지난 후에 태명을 짓게 된다. 아기를 건강하게 잘 키우기 위해서 태명은 말이 안 되거나 웃기게 '원숭이' 같은 재밌는 애칭을 짓는다.
중국은 태교의 나라라고 불리며 이에 대해 약 3천 년의 역사를 가져오고 있다. 임신부터 출산까지의 과정을 매우 중요시하며 특히 태교에 대해서 '뱃속 열 달이 출생 후 10년의 가르침보다 더 중요하다.'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에서는 중국의 책 '열녀전'에 처음 태교법이 소개되었으며 2천 년 전쯤 지어진 묘벽에는 임신 개월별로 지켜야 할 태교법을 담은 '태산출'이라는 글이 전해진다.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태교 10칙이 있으며 임신부들은 이를 최대한 지키려 노력한다. 중국에서는 임신부 요가 대회가 열릴 정도로 태교로써 요가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는 수중 분만에 필요한 운동을 하러 오는 임산부들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국과 비슷하게 격렬한 운동, 무거운 것 들기, 쪼그려 앉기 등의 몸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피하려 한다.
중국의 어머니들은 중국 문화적 특성상, 세상에 남을 큰 인물을 낳으려는 소망이 크다. 임신 사실을 안 첫날부터 태교에서 말하는 금기 사항을 철저히 지키며 역사 속 영웅의 어머니 같은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가지려고 한다.
중국에서 임신 당시 소고기·양고기·새우·생선 등을 잘 먹지 않는데, 그 이유는 해산물을 먹으면 태아에게 아토피와 같은 피부 질환이 생길 수 있다는 속설 때문이다. 토끼고기를 먹을 경우, 태아에게 구순열이 생기거나 자라를 먹으면 거북목이 된다는 속설을 믿고 잘 먹지 않는다. 돼지 족을 끓인 물로 만든 미역국(하이따이탕)을 모유에 좋은 보양식이라고 생각하며 많이 먹으며 찹쌀·좁쌀·달걀로 만든 죽과 같이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주로 먹는다. 또한 피를 보충해주기 위해 대추 또는 팥을 죽에 많이 넣는다. 출산 후에도 마찬가지로 미역국과 죽을 주로 먹는다.
1.2. 출산 문화
중국은 대륙으로 지역마다 특징이 있지만 풍습은 비슷하다. 아이가 태어난 집은 이를 알리기 위해 다른 집에 빨간색 달걀을 건네는 풍습이 남아 있다. 여자아이가 태어나면 홀수의 빨간 달걀을 나눠주고,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짝수의 빨간 달걀을 나누어준다. 빨간 달걀은 기쁜 분위기를 표현하...
참고 자료
통계청 국제 결혼 현황 https://kostat.go.kr/ansk/
여성건강간호학 2
여성건강간호학 I 박영주 외 4명 현문사
니하오 차이나 - 3천 년 태교의 비밀 중국 출산 문화. EBS Language. 2016.11.16.
중국의 출산·육아 정책 및 실태 분석: 북경, 연변 지역을 중심으로. 최은영·문무경·이윤진·양미선·엄지원·Minyi Li·박금해.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7-49-02.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김혜련·여지영·정진주·백소혜. 연구보고서 2012-10
여성결혼이민자의 보건의료이용실태와 보건의료요구도 조사. 김춘미‧박명숙‧김은만.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2011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