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해혁명 진독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신문화운동
2.1. 신사상운동
2.2. 신문학운동
2.3. 신문화운동의 역사적 의의
3. 대장정
3.1. 대장정의 내용
3.2. 대장정의 역사적 의의
4. 5.4 운동의 전개과정
4.1. 당시 중국대륙의 시대적 상황과 원인
4.2. 5.4 운동의 전개와 결과
5. 5.4 운동의 영향과 의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중국과 한국은 역사적으로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2022년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70주년이 되는 의미 있는 해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국의 근현대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중국은 약 100년 전 청조가 무너지고 중화민국이 수립되는 등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다. 이에 중국 지식인들은 중국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민중을 계몽하고자 신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공산당과 국민당이 협력하거나 대립하면서 중국의 근대화를 도모하였다.
이에 이 보고서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사적 사건인 신문화운동과 대장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 중국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신문화운동
2.1. 신사상운동
신사상운동은 봉건적인 정치, 문화, 도덕의 근간인 유교를 비판하고 유교를 대신하여 서구사상을 수용하자는 운동이었다. 여기에는 청년잡지(곧 신청년으로 개명함)의 역할이 컸다. 신청년은 1915년 9월 진독수가 발간한 잡지로 청년들의 사상과 행동의 개혁을 촉구했다. 신청년은 '민주'와 '과학'에 바탕을 둔 중국 사회의 혁신, 구 사회의 폐단 타파 등을 그 기조로 삼았다.
이와 더불어 중국의 전통적인 유교사상과 가족제도가 개인을 억압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개인의 해방을 추구하였다. 이때 특히 강조된 것이 여성해방이었다. 이들은 유교사상을 대체할 새로운 사상으로서 과학과 민주주의로 대표되는 서구식 사상인 자유주의, 개인주의, 민주주의를 옹호하였다.
또한 1917년에는 베이징대 총장으로 취임한 채원배가 사상적 자유에 입각한 학문의 본산으로 베이징대를 발전시켰다. 당시 호적, 이대조, 진독수 등의 전문가를 베이징대로 초빙하였으며, 학생들에게 자치를 허용함으로써 베이징대는 신문화운동의 거점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한편 전통의 타파와 유교의 부정에는 일체의 권위를 부정하고 개인의 해방에 관심을 두는 무정부주의의 사조가 신문화운동기의 청년, 학생, 지식인의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무정부주의의 영향으로 육체노동을 신성시 여겼으며, 학업과 노동을 합침으로써 공부하면서 일한다는 공독주의가 확산되었다.
이 밖에도 당시에는 실용주의, 마르크스주의, 자유주의와 같은 서구의 다양한 사상 및 학문들이 유입되어 지식인들은 이를 통해 구국과 구민의 진리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2.2. 신문학운동
신문학운동은 호적과 진독수가 중심이 된 문맹 퇴치 및 국민 계몽 운동이었다. 통속적 사회문학과 국민문학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신청년』 1918년 1월호부터 백화문 발간으로 나타났다. 근대적인 단편소설인 노신의 『광인일기』도 이해에 출판되었는데, 백화 사용이라는 형식에서만이 아니라 내용에서도 반전통, 반유교적인 사상을 표현하고 있어 노신은 사상운동과 문학운동을 결합시킨 대표적인 작가로 손꼽혔다. 5·4운동이 전개되던 시기에 『신청년』의 활동이 활발해짐으로써 백화문은 전국적으로 퍼져나갔고, 1920년에 이르러 당국은 교과서를 백화문으로 대체하였다.
신문학운동은 문맹 퇴치와 국민 계몽을 위해 시작된 운동이지만, 중국의 전통적인 문화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노신 등의 작품들은 유교 및 전통문화에 대한 강...
참고 자료
김영구, 장호준 공저(2016). 현대중국입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상수(2006.10.27.). 70돌 맞아 흔들리는 중국공산당 ‘대장정’의 신화. 한겨레
민주혁명과 현대중국, 김재선, 한국학술정보, 2011.12
중화민국시기 근대 역사학과 공문서 정리, 김지훈(성균관대학교), 효원사학회 |역사와 세계 | 역사와 세계 제 49집, 2016.6
제2차 국공합작과 민족주의의 흐름, 이순영, 학위논문 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9
중국의 국공합작(國共合作)과 내전(內戰)에서 공산당의 승리요인 연구, 나태종, 한국동북아학회, 2010
제1차 국·공합작 : 성립배경과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김영숙, 학위논문 석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4
「중국현대사상론」 김형종 역, 한길사 2005, 70. 85쪽
毛澤東 「毛澤東選集 第三卷」, (北京 : 人民出版社. 1991). 1061-1066쪽
김종운,「5.4 운동에 있어서의 학생의 역할 – 5.4 북경시위에서 6.3 상해 3파 투쟁까지」, 한국동서사학회, 1995.
임상범,「5.4 운동과 국민혁명의 출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96.
윤혜영,「5.4 운동과 신여성」, 중국근현대사연구, 1999.
장공자,「중국의 정치전통과 공산화의 배경」,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05.
백원담,「아시아 내셔널리즘과 5.4 – 5.4운동에서 ‘문화’와 ‘민족’문제의 재인식」, 중국현대문학, 2008.
차태근,「5.4 운동 시기 문명 전화론과 사회주의」,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