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속영화의 특징
1.1. 연속영화의 개념과 특성
연속영화(Serial Film)는 하나의 긴 이야기를 여러 개의 에피소드로 나누어 연재하는 영화 형식이다. 특히 20세기 초반에 유행하던 이 영화 형식은 신문 연재소설처럼 극장에서 정기적으로 새로운 에피소드를 상영하여 관객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였다. 이는 초기 영화 산업 발전 단계에서 장편 영화 개념이 확립되지 않았던 당시 상황에 적합한 방식이었다.
각 에피소드는 약 10분 내외의 짧은 러닝타임을 가지고 있었으며,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이 위기에 처하는 '클리프행어(cliffhanger)' 기법을 활용하여 관객들의 궁금증을 유발하였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다음 회차를 기대하며 다시 극장을 찾게 되었다.
연속영화는 주로 저예산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신속한 제작이 가능했고, 액션, 모험, 범죄, 멜로드라마와 같은 대중적인 장르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여성 주인공의 활약이 돋보였던 경우가 많았으며, 탐정물이나 스파이물, 공상과학물 등 흥미로운 소재가 활용되었다.
이후 연속영화의 전통은 TV 드라마와 현대 영화 시리즈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스타워즈, 반지의 제왕 등 장기적인 서사와 세계관을 가진 시리즈 영화는 과거 연속영화의 형식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3]
1.2. 연속영화의 상영 방식
연속영화는 보통 10~15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한 편씩 극장에서 상영되었다. 각 에피소드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0~30분 정도로 짧았으며, 영화관에서 장편 영화 상영 전에 부록(filler) 형식으로 상영되기도 하였다. 각 편이 끝날 때마다 주인공이 생사의 기로에 놓이는 '클리프행어(cliffhanger)' 기법이 사용되어 관객의 흥미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상영 방식을 통해 연속영화는 관객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었다. 독립적인 줄거리와 함께 전체적인 이야기 흐름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마치 오늘날의 TV 연속극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클리프행어 기법을 활용하여 각 회차의 마지막 장면에서 긴장감을 조성함으로써 다음 에피소드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이는 당시 영화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고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결과적으로 연속영화의 이러한 상영 방식은 이후 TV 드라마와 시리즈 영화의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3. 연속영화의 주요 장르
연속영화는 대중적인 흥미를 끌 수 있는 장르가 주를 이루었다. 모험/액션 장르의 영화는 영웅이 악당과 싸우며 위기를 극복하는 이야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플래시 고든(Flash Gordon), 벅 로저스(Buck Rogers) 등이 있다. SF(공상과학) 장르는 외계인, 로봇, 미래 기술 등을 다루며, 당대의 기술적 상상력을 반영하였다. 서부극(Western) 장르는 미국 서부 개척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들이 인기를 끌었다. 범죄/탐정물 장르는 경찰, 탐정 등이 범죄자를 추적하는 내용을 담았다. 슈퍼히어로 장르는 1940년대에 슈퍼맨, 배트맨 등의 만화 캐릭터가 연속영화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연속영화는 대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발전하였다.
1.4. 연속영화의 대표적 특징
연속영화는 하나의 긴 이야기를 여러 개의 에피소드로 나누어 정기적으로 상영하는 영화 형식이다...
참고 자료
공용(2022), 사진영상론, 영상을 본다는 의미 세 가지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
공용(2015), 기업광고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기업광고의정의 기업광고의 유형기능 및 효과
신인섭, 신기혁(2004) 국제 광고와 PR,커뮤니케이션 북스
유재천 외(2004)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이명천, 김요한(2005) 광고학 개론,커뮤니케이션 북스
이경민(2017), 영화같은 삼성전자 광고 영상에 인도 열광…조회수 1억건 돌파 예상
이수빈(2017), 제일기획, 삼성 인도 광고 대박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 영화소설 『탈춤』 연구 - 미국 연속영화와 나운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인문학>한국어와문학 (2024, vol., no.82, pp. 293-316 (24 pages)) - 영화소설 『탈춤』 연구 - 미국 연속영화와 나운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KOAJ - 감상(鑑賞)의 시대, 조선의 미국 연속영화 – 한국어와문학 (2013 no.14, pp.213-264) - 감상(鑑賞)의 시대, 조선의 미국 연속영화
KMDB – 연속영화와 연쇄극, 극영화의 등장(한국영화의 탄생 1919~1924) by.정종화(한국영상자료원 선임연구원) 2016-07-05 - KMDb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DBpia - <의리적 구토(仇討) 그 후, 100년의 구투(口鬪)> : 재현과 인터뷰를 중심으로 =
: Focusing on the reenactment and interviews – 이태리 2021.08 – 6~21p - <의리적 구토(仇討) 그 후, 100년의 구투(口鬪)> : 재현과 인터뷰를 중심으로 : 논문보기 – DBpia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미몽 (迷夢) - 등록문화유산/기타/동산(영화) - 미몽(迷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두산백과 두피디아 – 미몽 -미몽
백문임. "감상(鑑賞)의 시대, 조선의 미국 연속영화." 사이 14.- (2013): 213-264.
미국연속영화목록(1916-1920), 한국영화파이, 2013.08.22
https://kcinemap.tistory.com/entry/%EB%AF%B8%EA%B5%AD-%EC%97%B0%EC%86%8D%EC%98%81%ED%99%94-%EB%AA%A9%EB%A1%9D19161920
컬러 영화, 영화기술역사, 정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02.2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25049&cid=42219&categoryId=42227
구인모(Ku In-mo). "근대기 한국의 대중서사 기호(嗜好)와 향유방식의 한 단면." 한국학 36.3 (2013): 449-471.
<의리적 구토>부터 <기생충>까지 한국 영화사 명장면, 무비스트, 박꽃 기자, 2019.11.19
https://www.movist.com/movist3d/view.asp?type=13&id=atc000000002088
연극으로 만나는 한국 최초 영화 ‘의리적 구토’, 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2019.11.06
https://www.yna.co.kr/view/AKR2*************005?input=1195m
의리적 구토, 디지털동작문화대전, 한상언
https://www.grandculture.net/dongjak/toc/GC08200964
사라진 ’의리적 구토‘ 즐기려면, 세계일보, 노광우, 2022.11.04
https://www.segye.com/newsView/2*************?OutUrl=naver
70년전 영화 맞아? 최초 극영화 ’미몽‘, 한겨레, 전정윤기자, 2006.03.01
https://www.hani.co.kr/arti/culture/movie/105823.html
한국영화걸작선, 미몽, KMDB, 이효인, 2011.05.23
https://www.kmdb.or.kr/story/10/1797
한국고전영화 채널-<미몽>(1936) 검색(https://youtu.be/tmd_OBPFll8?feature=shared)
정의숙,and 변혁. "영화 「미몽」을 통해 본 1930년대 춤의 의미." 무용예술학연구 31.- (2010): 163-185.
염복규. "영화 <미몽>과 1936년의 경성." 문화와 융합 45.2 (2023): 273-286.
박현희 ( Park Hyun-hee ). "계몽과 각성 -교통영화 <미몽>-." 사이 21.- (2016): 3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