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환경 분석
1.1. 지리적 현황
1.1.1. 위치 및 특성
군산시는 금강의 끝자락 북위 36도 선이 지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서수면, 서쪽으로는 어청도, 남쪽으로는 비안도, 북쪽으로는 나포면 원나포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군산은 금강의 왼쪽 끝에 위치하면서 넓은 호남평야를 등지고 있으며, 서해안의 중심적 항구도시로 익산시, 김제시, 부안군, 서천군, 보령시 등과 인접해 있다.
군산시는 함라산맥의 능선으로 대부분 충적평야와 구릉지로 되어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해발 210여 m의 오성산, 장계산, 천방산과 풍경이 명료한 월명산이 위치하고 있다. 내륙은 곡창지대인 임옥평야가 발달해 있고, 서해에는 고군산군도를 중심으로 풍성한 어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16개의 유인도와 40여 개의 무인도가 해상에 펼쳐져 있다. 또한 중국대륙과 아태무역의 전진기지로 역할을 하는 신흥 중소산업도시이다.
1.1.2. 지역사회 유형
군산시는 함라산맥의 능선으로 대부분 충적평야와 구릉지로 되어 있으며 북동쪽으로 해발 210여m의 오성산, 장계산, 천방산 그리고, 풍경이 명료한 월명산을 등지고 위치한 중부서해안의 해상관문의 도시이다. 내륙은 곡창지대인 임옥평야가, 서해에는 고군산군도를 중심으로 풍성한 어장이 조성되어 있고, 16개의 유인도와 40여개의 무인도가 해상에 펼쳐져 있으며 중국대륙과 아태무역의 전진기지로 신흥 중소산업도시이다.
1.2. 인구 현황
1.2.1.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및 인구추이
송학동의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및 인구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송학동의 지난 3년간(2018년~2020년) 성별 인구 변화를 보면, 남성 인구와 여성 인구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40대의 청장년층 인구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산연령층(15~64세)의 인구수가 전체 인구의 68.4%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유년인구(0~14세)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5.0%로 고령사회에 해당한다.
송학동의 노령화지수는 91.6%로 익산시 평균 150.1% 보다 낮은 편이지만, 노년부양비는 22.0%로 익산시 평균 25.9% 보다 높은 편이다. 또한 유년부양비는 24.0%로 익산시 평균 17.2% 보다 높은 편이며, 총부양비는 46.0%로 익산시 평균 43.1% 보다 높은 편이다.
이처럼 송학동은 청장년층 비중이 높고 생산연령층이 많은 별형(도시형) 인구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년인구 감소와 고령인구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인구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노령화에 대비한 복지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1.2.2. 노인인구 현황
노인인구 현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송학동의 65세 이상 고령자 수는 2018년 1,296명, 2019년 1,308명, 2020년 1,331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송학동의 노령화지수는 2018년 80.1%, 2019년 85.6%, 2020년 91.6%로 상승하고 있으며, 노년부양비도 2018년 19.5%, 2019년 20.6%, 2020년 22.0%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송학동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노령인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송학동의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15.0%를 차지하고 있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령 인구에 특화된 복지 및 보건서비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3. 산업별 인구구성
군산시의 산업별 인구구성을 살펴보면, 2014년 기준 합계 인구는 124.6천명이다. 산업별로는 사업, 개인, 공공 서비스 및 기타 부문의 인구가 38.7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도·소매, 음식, 숙박업 22.8천명, 광공업 28.2천명,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21.7천명, 사무종사자 17.7천명, 건설업 10.8천명, 전기, 운수, 통신, 금융 11.9천명, 서비스·판매종사자 24.9천명, 기능·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31.4천명, 단순노무종사자 17.5천명, 농림어업 숙련근로자 11.6천명, 농림어업 12.4천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군산시의 산업구조가 서비스업과 제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1.2.4. 의료취약인구
의료취약인구에는 독거노인, 등록장애인,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노인부부 등이 포함된다.
송학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