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역사속의기독교이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나의 역사속의 기독교 이야기
2.1. 나의 역사속의 기독교 이야기 내용
2.2. 내가 기독교 이야기를 듣고 느낀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기독교인이 아니어도 우리나라에서 기독교 자체를 모르기란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왜냐하면 기독교가 우리나라에서 많은 사람들이 믿는 종교이기도 하고, 여러 일화들이 우리에게 유명하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빵과 생선으로 사람들을 먹이셨다는 그런 이야기라던가, 혹은 다시 부활하셨다 등의 익숙한 일화들이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더해서 우리나라의 동네에 교회가 꼭 하나씩 있기 때문에 친구 손잡고 교회를 가본 사람들이 많을 줄로 안다. 교회에 가면 어린이들에게는 달란트 시장도 있고, 수련회도 있고 신앙이라는 이름 아래에 다양한 활동들을 지원해주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외에 좋지 않은 이미지들도 일부 존재하지만 그것이 진정한 하느님의 길은 아닐 것이라 믿는다. 그렇다. 내 안에는 사랑을 실천하는 기독교인들의 모습이 뇌리에 깊게 남는 것이다. 하느님을 믿는 사람들 중에 이태석 신부 등 자신만의 사랑을 실천한 기독인들이 내 머리 속에는 아주 깊게 남아 있다. 하느님의 사랑을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펼치고 진정한 종교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람들이 그러하다. 그리고 크리스마스가 되면 어떤 종류의 사람이던 전부 모아서 사랑을 베푸는 모습이 나에게는 깊게 남아있다. 매년 크리스마스가 되면 가톨릭과 개신교의 명절임에도 불구하고 스님이 함께 축하하고, 세 사람이 손을 잡는 사진을 살펴볼 수 있다. 어찌 보면 감사해야 할 일들을 함께 축하하는 진정한 종교의 현장이 아닌가 하는 마음이 든다. 더불어서 서양 사람들은 성경을 인문학의 일종으로 공부한다고 하기도 하니, 종교는 믿음을 넘어서 인문학의 영역에 닿아있나 보다. 리포트를 통해서 화합과 평화의 학문으로 기독교를 배우고 나의 역사 안에서 어떤 모습으로 남아있나 살펴보는 이 과정들이 즐겁게 느껴졌다. 그래서 본론에 쓸 나의 역사 속 기독교 이야기는 사랑 그리고 자비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적어보았...
참고 자료
김근주 , 『나를 넘어서는 성경읽기』, 성서유니온
이태석, 『친구가 되어주실래요?』, 생활성서사
공용, 세계의종교, 2017, 유대교와 그리스도교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
김진, 종교문화의 이해, UUP. 1998
김하태, 자아와 무아, 연세대 출판부, 1974
박이문, 종교란 무엇인가, 일조각, 1997
서광선, 종교와 인간, 이화여대 출판부, 1975
오강남, 세계 종교 둘러보기, 현암사, 2003
나카무라 요시코, 이계성 옮김, 3일만에 읽는 성경이야기, 서울문화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