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낙상 주제 선정 목적 및 필요성
낙상은 노인건강을 위협하는 중요 건강 문제 중 하나로,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28~35%, 70세 이상 노인에서 32 ~ 42%가 매년 낙상을 경험하고 있다. 또한 이 중에서 약 10%는 골절로 이어져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4.5명으로 외인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자살과 운수사고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은 낙상에 취약한 계층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5명 중 1명, 미국의 노인 4명 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의 낙상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낙상은 노인대상 주요 건강문제로 제고되고 있으며, 인천동구 치매 전담형 주간보호센터 내, 노인 대상으로 낙상 보건교육계획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낙상의 정의는 의도하지 않게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다치는 것이다. 낙상의 원인은 사고, 노화, 질병, 산업재해 등이 있다. 사고는 성인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얼음 또는 눈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넘어짐, 미끄러짐, 걸림 및 헛디딤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넘어짐, 계단에서의 낙상, 빌딩 또는 구조물에서의 낙상 등 그 원인이 다양하다. 노화는 65세 이상 노인의 21%가 낙상을 경험하며, 이 중 26% 이상이 약 2주 이상 입원을 하게 되며, 모든 노인의 신체 손상 중 절반 이상이 낙상에 의하여 발생한다. 질병의 경우 뇌졸중,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등 낙상 고위험군 질병에 속한다. 산업재해는 건설업 사망자의 68%를 차지한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을 통해 근력 및 균형감각을 향상시켜야 하며, 걷기운동, 근력운동, 균형운동을 하고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끄럼 방지 매트, 미끄럼 방지 양말, 변기 안전 손잡이 등의 주거환경 용품을 이용하고, 보행 보조차, 접이식 지팡이 등의 보행 보조용품을 사용하며, 집안의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예방법이 있다. 낙상은 노인건강을 위협하는 중요 건강 문제로 인식되고 있어 체계적인 연구와 예방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
2. 낙상 연구 및 분석
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낙상예방교육 효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낙상예방교육은 낙상관련 지식 및 낙상예방 행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지식 점수는 실험군이 6.60±1.82점, 대조군이 0.09±0.38점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예방 행위 점수는 실험군이 25.37±6.15점, 대조군이 11.32±1.99점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낙상예방 교육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낙상관련 지식 및 낙상예방 행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낙상예방 교육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 하나이며, 입원 환자의 낙상은 재원일수 증가, 추가적인 의료비용 부담과 의료과실로 인한 소송까지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